인물. 역사 (국내)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론.Aaron 아론의 지팡이 . Aaron's rod.아론은 모세의 형으로서 모세와 함께 이스라엘 백성을 애급(埃及, 이집트)에서 이끌어낸 사람이다. 그는 지팡이를 가지고 다녔다. 아론의 지팡이는 2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 애급의 바로 왕 앞에서 이적을 행한 것과 둘째, 대제사장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아론의 합법성을 입증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적을 행한 것에 구약성서 《출애굽기》 7장 9절에 “바로가 너희에게 이르기를 너희는 이적을 보이라 하거든 너는 아론에게 명하기를 너의 지팡이를 가져 바로 앞에 던지라 하라 그것이 뱀이 되리라”고, 19절에 “여호와께서 또 모세에게 이르시되 아론에게 명하기를 네 지팡이를 잡고 네 팔을 애급의 물들과 하수들과 운하와 못과 모든 호수 위에 펴라 하라 그것들이 피가 되리니 애급 온.. 더보기 모세 . Mose(s). 모세 . Mose(s). 모세 . Mose(s). 구약성서 속의 영웅"이스라엘의 종교적 지도자이자 민족적 영웅이다. '약속의 땅'인 가나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이스라엘 백성들의 지도자가 되어 40여 년 간 광야를 유랑하지만, 가나안 땅으로 들어가지는 못한다. 호렙산에서 노예로 있던 히브리 민족을 해방시키라는 음성을 듣고 이집트로 돌아와 협력자 아론과 함께 그들을 구출하였으며, 시나이산에서 십계명을 받았다. 구약성서의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는 모세가 집필하거나 혹은 그 내용이 모세와 관련되는 바가 많아 ‘모세 오경(五經)’이라고 일컫는다. 그의 생애에 관해서는 《출애굽기》 《민수기》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레위기》 《신명기》의 율법(律法)은 ‘모세의 율법’이라 일컬어진.. 더보기 장량 . 張良. zhāng liáng. 장량 . 張良. zhāng liáng. 한나라 건국에 공헌한 책사" 한나라 고조 유방의 공신. 진승 · 오광의 난이 일어났을 때 유방의 진영에 속하였으며, 후일 항우와 유방이 만난 '홍문의 회'에서는 유방의 위기를 구하였다. 선견지명이 있는 책사로서 한나라의 서울을 진나라의 고지인 관중으로 정하고자 한 유경의 주장을 지지하였다. 자 자방(子房). 시호 문성공(文成公). 한나라 명문 출신으로, BC 218년 박랑사(博浪沙:河南省博浪縣)에서 시황제(始皇帝)를 습격했으나 실패, 하비(下邳:江蘇省 下邳縣)에 은신하고 있을 때 황석공(黃石公)으로부터 《태공병법서(太公兵法書)》를 물려받았다고 한다. 진승(陳勝)·오광(吳廣)의 난이 일어났을 때 유방의 진영에 속하였으며, 후일 항우(項羽)와 유방이 만난 '홍문의 .. 더보기 범려. 范蠡. 범려. 范蠡.중국 춘추시대 말기의 정치가. 월나라 왕 구천을 섬겼으며 오나라를 멸망시킨 공신이었다. 이후 오나라를 떠나 제나라로 가 재상에 올랐다. 춘추 시대 초(楚)나라 완(宛) 사람. 월(越)나라의 대부(大夫)로, 이름은 여(蠡)고, 자는 소백(少伯)이다. 완령(宛令) 문종(文種)의 친구로, 그를 따라 월나라로 와 월왕 윤상(允常)을 섬겼다. 구천(句踐)이 이어 등극하자 그의 모신(謀臣)이 되었다. 월나라가 오나라에 패배하자 문종은 나라를 지키고 그는 오나라에 화해를 요청하여 구천을 따라 3년 동안 오나라에서 신복(臣僕)으로 있었다. 귀국해서는 문종과 함께 부국강병에 최선을 다했다. 구천 15년 오나라의 도성(都城)을 격파했다. 22년 오나라를 포위한 뒤 3년 뒤에 멸망시켰다. 상장군(上將軍)에 올랐.. 더보기 서시 , 西施. Xī Shī. 서시 , 西施. Xī Shī.중국 춘추시대 월국(越國)의 미녀. 중국의 4대 미녀 중 한명으로 손꼽히며 부차에게 접근하여 오나라가 멸망하게 하였다. 고사성어 ; 효빈(效顰), 빈축(嚬蹙), 동시빈축(東施嚬蹙), 동시효빈(東施效顰), 침어(沈魚) 나무꾼의 딸로 저라산(苧羅山) 자락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며 자세한 성장배경은 알려진 것이 없다. 평범한 집안에서 출생하였지만 뛰어난 미모를 타고났기에 많은 남자들이 그녀에게 연정을 품었다고 전한다. 그녀가 살았던 마을에서 절세의 미녀로 소문이 나 같은 마을에 사는 여자들은 무엇이든 서시의 흉내를 내면 아름답게 보일 것이라 생각했고 지병으로 앓던 심장병의 통증으로 찡그리는 서시의 얼굴까지 흉내를 냈다고 한다. 눈살을 찌푸린다는 의미의 서시효빈(西施效嚬), 서시빈목(.. 더보기 우미인, 虞美人. 우미인, 虞美人.중국 진(秦)나라의 무장 항우(項羽)의 총희(寵姬). 항우가 ‘사면초가’의 막다른 상황에 다다르자, 최후의 주연을 베풀고 자진(自盡)했다고 한다.우희(虞姬)라고도 한다. 진나라 말기 항우가 한나라 고조의 군사에게 해하(垓下: 安徽省 靈璧縣)에서 포위되어 ‘사면초가(四面楚歌)’의 막다른 상황에 다다르자, 최후의 주연을 베풀었다. 이때 시름에 찬 항우에게 ‘대왕의 의기가 다하였으니 천첩이 어찌 살기를 바라겠습니까’라고 답하고는 자진(自盡)하였다고 한다. 후대 송나라 증공(曾鞏)은 ‘우미인의 피가 변하여 우미인초(虞美人草: 개양귀비)가 되었다’는 시를 남겼다.‘서초패왕(西楚霸王)’ 항우(項羽)의 애첩(愛妾). 우미인은 속칭이고 우는 성(姓)이면서 이름이라고도 한다. 항우는 진(秦)을 타도하고 .. 더보기 양귀비 . 楊貴妃. Yáng Guìfēi. 楊貴美酒. 양귀비 . 楊貴妃. Yáng Guìfēi. 楊貴美酒. 중국 당나라 6대왕 현종의 총비. 시대 ; 당나라출생 - 사망719년 ~ 756년이칭 ; 양옥환(楊玉環), 양옥노(楊玉奴), 양태진(楊太眞)당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절세미인에 총명하여 현종의 마음을 사로잡아 황후 이상의 권세를 누렸다. 안사의 난이 일어나 도주하던 중 살해되었다. 눈동자를 돌리며 한번 웃으면 백 가지 애교가 철철 넘쳐서,(回眸一笑百媚生) 육궁의 단장한 미녀들, 모두 낯빛을 잃어버렸네.(六宫粉黛無顔色). 수나라 황실의 후예로 태어난 그녀의 본적은 포주(蒲州) 영락이다. 일설에 따르면 촉주(蜀州, 지금의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시) 혹은 용주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어릴 때 이름은 양옥환 또는 양옥노였다고 한다. 시인들은 양태진이라.. 더보기 양귀비. 1 양귀비.죽음에 관한 설화"자결 아닌 자결로 38세의 생을 마감, (화무십일홍 권불십년), ‘화무십일홍 권불십년(花無十日紅 權不十年 꽃은 열흘 붉은 것이 없고 권세는 10년을 가지 못 한다)’ 이란 말이 있듯이 양귀비의 권세도 오래가지 못했다. 양귀비의 몰락은 현종 외에 양귀비가 총애하던 두 남자 사이의 알력에서 시작되었다. 양귀비는 중국 변방 돌궐족 출신인 안록산을 가까이 하였다. 안록산은 일개 군졸에서 시작하여 용맹으로 공을 세워 일약 중앙정계로 진출한 인물이었다.20대의 양귀비는 40대의 안록산을 수양아들로 삼고 그를 매우 가까이 하였다. 일설에는 양귀비가 안록산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다고도 한다. 그러나 현종은 안록산과 양귀비의 관계를 조금도 의심하지 않았다. 양귀비가 안록산을 총애하는 것만큼 더욱.. 더보기 이전 1 ··· 5 6 7 8 9 10 11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