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사찰, 교회), 기타,,

쾌락or 욕망!? 쾌락의욕망!? 무엇이든지 꾸준히 하면 늘기 마련이다. 만시간 법칙이 있다. 하루 서너시간씩 매일 열정적으로 십년을 하면 누구나 프로페셔널(專門家)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노래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선천적 고음불가일지라도 노력하면 누구 못지 않게 노래를 잘 할 수 있을 것이다. 세상을 살면서 곤혹스러울 때가 있다. 그것은 노래방 가는 것이다. 노래방 문화가 시작 되기 전에는 생음악으로 불러야 했다. 회식자리에서 돌아 가며 부를 때 참으로 난감했다. 무엇을 불러야 할지 몰랐다. 평소 듣기를 즐겨하지만 일어나서 부르라고 했을 때 그야말로 대략난감했다. 한때 십팔번을 만들고자 했다. 유행가 중에 성향과 잘 맞는 노래를 골라서 연습해 보는 것이다. 너무 고음이 곤란했다. 노래를 해본 적도 없고 노래를 배워 .. 더보기
유교 , Confucianism, 儒敎. 유교 , Confucianism, 儒敎. 공자를 시조(始祖)로 하는 중국의 대표적 사상. 옛날 중국 공자의 가르침에서 시작된 도덕 사상. 인(仁) 사상을 바탕으로 나라에 대한 충성과 부모에 대한 효도를 중시하는 사상이다. 공교(孔敎) ·공자교(孔子敎)라고도 한다. 인(仁)을 모든 도덕을 일관하는 최고 이념으로 삼고,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일종의 윤리학 ·정치학이며, 수천 년 동안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양사상을 지배하여 왔다. 춘추시대 말기에 태어난 공자는 대성(大聖)이었으나 고국인 노(魯) 나라에서는魯 뜻을 이루지 못하고 15년간 여러 나라로 돌아다니며 ‘선왕(先王)의 도(道)’를 역설하였으나 끝내 그 이상을 펴지 못하였다. 만년에는 고향으로.. 더보기
송광사. 1 천년의 고찰, 송광사.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종남산(終南山)에 있는 절.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金山寺)의 말사이다. 867년(경문왕 7)에 체징(體澄)이 창건하였다.그 뒤 폐허화되었던 것을 고려 중기의 고승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이곳을 지나다가 영천(靈泉)의 물을 마신 뒤, 영천으로 인하여 뒷날에 큰 절을 세울 수 있는 곳이라 판단하여 샘 주위에 돌을 쌓아두었다가 제자를 시켜 뒷날 그 자리에 절을 중창하도록 당부하였다.그러나 오랫동안 그 뜻을 실천에 옮기지 못하다가 1622년(광해군 14)에 응호(應浩)·승명(勝明)·운정(雲淨)·덕림(德林)·득순(得淳)·홍신(弘信) 등이 이극룡(李克龍)의 시주를 얻어서 중창하였다. 중창 후 벽암(碧巖)을 초빙하여 50일 동안 화엄법회를 열었는데, 이.. 더보기
송광사, 松廣寺. 송광사, 松廣寺.천 년의 고찰전남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조계산 서쪽 기슭에 있는 절. 삼보사찰의 하나인 승보사찰이다. 신라 말기에 체징에 의하여 창건되었다.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이다. 대길상사(大吉祥寺)·수선사(修禪社)라고도 하며, 해인사, 통도사와 더불어 우리 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의 하나로 승보사찰(僧寶寺刹:훌륭한 스님을 가장 많이 배출함으로서 얻어진 이름)로서 매우 유서깊은 절이다. 송광사는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에 위치한 천 년 고찰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완주 송광사는 신라 경문왕 7년(867년)에 구산선문의 개산조인 보조체징선사가 개창하였다. 원래의 이름은 백련사였으며, 현재의 일주문이 3㎞ 밖으로 서 있던 대찰이었으나 역사의 변천 속에 거의 폐찰이 된 것을 1600년대 순천 송광사의 .. 더보기
소림사 [Shaolin of Temple, 少林寺. 소림사 [Shaolin of Temple, 少林寺. 서기 464년, 불타선사(佛陀禪師)라는 인도의 승려가 중국으로 와서 불법을 전파하기 시작했다. 소림사(少林寺, 샤오린샤)는 북위의 효문제의 명으로 495년 공사를 시작하여 창건되었다. 바로 이 소림사에서 인도의 불경들이 중국어로 번역되었으며, 선종의 교리가 완성되었다. 불타선사는 또한 참선을 보완하는 수행 방법의 하나로 무술을 도입한 것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 무술이 훗날 고난도의 악명 높은 소림 쿵후로 발전하였다. 원래의 절 구조는 단순했지만, 왕조가 바뀔 때마다 증축을 거듭하여 더욱 웅대해지는 바람에 현재의 구조는 주로 명대와 청대의 것이 대부분이다. 주요 건물이 중앙축을 따라 늘어서 있는, 완벽한 대칭 균형을 무너뜨리지 않으려고 애쓴 것이 .. 더보기
성 베드로 대성당 , Basilica of St. Peter. 산 바티칸) 대성당 San Pietro in Vaticano. 성 베드로 대성당 , Basilica of St. Peter.산 바티칸) 대성당San Pietro in Vaticano. 제작시기1593년건축가미켈란젤로, 델라 포르타, 베르니니, 브라만테, 마데르노위치바티칸 시티양식바로크 고전주의재료석재, 대리석로마(바티칸)에 있는 로마 ∙ 가톨릭의 총본부. 320년경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성 베드로의 묘 위에 오랑식(五廊植)의 바실리카를 건립한 후 15세기 말까지 존재했다. 이를 성 베드로 구(舊) 성당이라 부름. 1502년 브라만테의 안(案)에 따라 집중식의 신성당이 기공되었으나 설계상의 미비로 인하여 중단하고, 줄리아노 ∙ 다 ∙ 상갈로가 교회의 요망에 응해 장당식(長堂式)으로 변경했다. 프라 조콘도와 라파엘, 페르치, 안토니오 다 상갈로도 각기 안을 제시했으나 모.. 더보기
관음사 ,觀音寺. 관음사 ,觀音寺. 황해북도 개성시 박연리 천마산 기슭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찰.요약 황해북도 개성시 박연리 천마산 기슭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찰.지정번호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125호소재지개성시 박연리 천마산시대조선시대종류/분류사찰유적북한의 보물급문화재 제33호로 지정되었다가 국보 문화유물 제125호로 변경되었다. 박연리 대흥산성 북문에서 약 1km 정도 거리의 천마산 기슭에 있다. 970년(고려 광종 21) 법인국사(法印國師) 탄문(坦文)이 처음 세우고, 1393년(조선 태조 1)에 크게 확장하였다. 1477년(성종 8) 산사태로 무너진 것을 1646년(인조 23)에 다시 세웠다. 현재의 건물은 1797년(정조 21)에 중수한 것이다. 경내에는 현재 대웅전·승방·칠층석탑·관음굴이 남아 있다. 승방 중앙에 난.. 더보기
관음사 觀音寺 목조관음보살상 , 木造觀音菩薩像. 관음사 觀音寺목조관음보살상 , 木造觀音菩薩像.시도유형문화재 제216호관음사목조관음보살상이 보살상은 1650년(효종 1)에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하던 대표적인 조각승 무염(無染), 성수(性修), 경성(敬性)에 의해 조성된 불상으로 17세기 불상의 전형적인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신체에 비해 다소 얼굴이 크지만 안정감 있는 자세, 오똑한 코, 단정한 결가부좌의 자세를 가지고 있다. 조성연대가 확실하고 주로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한 조선후기 조각승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유형유적시대조선/조선후기성격불교조각건립시기·연도17세기규모(면적)불상 1구, 복장유물일괄소재지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양지길 92-38(소천리 1224)소유자관음사관리자무주군문화재 지정번호전라북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16호문화재 지정일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