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자연, 산, 바다, 강,호수, (국내, 외),

가을,아름다운 산,사찰.

728x90

가을!,아름다운 산,사찰.

단풍들이 운치가 있고 아름다운 산들이~~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google_ad_client: "ca-pub-4162949345545299",

          enable_page_level_ads: true

     });

</script>

속리산 법주사,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속리산의 천황봉·관음봉이 포함된 경승지이다. 지정면적은 약 18,464,375.92㎡에 이른다. 4계절의 변화에 따라 절경을 이루는 경승지로 한국 팔경 중의 하나이다. 속리산은 해발 1,057m의 천황봉()을 주봉()으로 9개의 높은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원래는 구봉산()이라고 불렀다. 이후 신라시대부터 속리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울창한 숲과 기암 괴석이 절경을 이루고 있어 예로부터 제2의 금강()이라고도 불러 왔다.

1966년 6월 24일 사적 및 명승 제4호로 지정되었다가 2009년 12월 21일 지정해제됨과 동시에 사적 제503호 보은 법주사와 명승 제61호 속리산 법주사 일원으로  다시 지정되었다.

 

쌍사자석등

 

영주 부석사,

부석사 [浮石寺]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 문화재자료.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2018년 6월에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676년(문무왕 16) 2월에 의상()이 왕명으로 창건한 뒤 화엄종()의 중심 사찰로 삼았다.

『삼국유사()』에 이 절의 창건설화가 수록되어 있다. 당나라로 불교를 배우기 위하여 신라를 떠난 의상은 상선()을 타고 등주() 해안에 도착하였는데, 그곳에서 어느 신도의 집에 며칠을 머무르게 되었다. 그 집의 딸 선묘()는 의상을 사모하여 결혼을 청하였으나, 의상은 오히려 선묘를 감화시켜 보리심()을 발하게 하였다. 선묘는 그때 “영원히 스님의 제자가 되어 스님의 공부와 교화와 불사()를 성취하는 데 도움이 되어드리겠다.”는 원을 세웠다. 의상은 종남산()에 있는 지엄()을 찾아가서 화엄학을 공부하였다. 그 뒤 귀국하는 길에 의상은 다시 선묘의 집을 찾아 그 동안 베풀어준 편의에 감사를 표하고 뱃길이 바빠 곧바로 배에 올랐다.

 

선묘는 의상에게 전하고자 준비해 두었던 법복()과 집기() 등을 넣은 상자를 전하기도 전에 의상이 떠나버렸으므로, 급히 상자를 가지고 선창으로 달려갔으나 배는 이미 떠나가고 있었다. 선묘는 의상에게 공양하려는 지극한 정성으로 저만큼 떠나가는 배를 향해 기물상자를 던져 의상에게 전하고는, 다시 서원()을 세워 몸을 바다에 던져 의상이 탄 배를 보호하는 용이 되었다.

 

용으로 변한 선묘는 의상이 신라에 도착한 뒤에도 줄곧 옹호하고 다녔다. 의상이 화엄의 대교()를 펼 수 있는 땅을 찾아 봉황산에 이르렀으나 도둑의 무리 500명이 그 땅에 살고 있었다. 용은 커다란 바위로 변하여 공중에 떠서 도둑의 무리를 위협함으로써 그들을 모두 몰아내고 절을 창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의상은 용이 바위로 변하여서 절을 지을 수 있도록 하였다고 해서 절 이름을 부석사로 하였다고 한다. 지금도 부석사의 무량수전(殿) 뒤에는 부석()이라는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가 선묘용이 변화했던 바위라고 전한다.

창건 후 의상은 이 절에서 40일 동안의 법회를 열고 화엄의 일승십지()에 대하여 설법함으로써 이 땅에 화엄종을 정식으로 펼치게 되었다. 특히, 의상의 존호를 부석존자()라고 칭하고 의상의 화엄종을 부석종()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모두 이 절과의 연관에서 생겨났다.

 

의상 이후의 신라 고승들 가운데 혜철()이 이 절에서 출가하여 『화엄경』을 배우고 뒤에 동리산파()를 세웠고, 무염() 또한 이 절에서 석징()으로부터 『화엄경』을 배웠으며, 절중()도 이 절에서 장경()을 열람하여 깊은 뜻을 깨우쳤다고 한다. 고려시대에는 이 절을 선달사() 또는 흥교사()라고 하였는데, 선달이란 선돌의 음역으로서 부석()의 향음()이 아닐까 하는 견해도 있다. 고려 정종 때의 결응()은 이 절에 머무르면서 대장경을 인사()하고, 절을 크게 중창한 뒤 1053년(문종 7)에 이 절에서 입적하였다. 1372년(공민왕 21)에는 원응국사()가 이 절의 주지로 임명되어 퇴락한 당우를 보수하고 많은 건물들을 다시 세웠다. 그 뒤 조선시대의 역사는 자세히 전하지 않으나 1580년(선조 13)에 사명당()이 중건하였으며, 1746년(영조 22)에 화재로 인하여 추승당()·만월당(滿)·서별실(西)·만세루()·범종각 등이 소실된 것을 그 뒤에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국보 제18호인 부석사 무량수전과 국보 제19호인 부석사 조사당()을 비롯하여, 조선시대 후기의 건물인 범종루()·원각전(殿)·안양루()·선묘각()·응진전(殿)·자인당()·좌우요사()·취현암() 성보전시관 등이 있다. 이들 가운데 범종루와 안양루는 대표적인 누각이고, 원각전·응진전·자인당은 법당이며, 선묘각은 부석사의 창건연기와 인연이 있는 선묘의 영정을 봉안하여둔 곳이다.

 

범종루는 사찰의 중문()에 해당하며, 본전을 향하는 입구 쪽에서는 팔작지붕을 하고 반대방향은 맞배지붕이므로 일반 사찰건축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특이성을 보이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4칸의 2층 누각으로서, 누각에는 ‘(봉황산부석사)’라는 편액이 있을 뿐 범종은 없다.

 

안양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집으로서, 누각 안에는 부석사의 현판기문을 모아두었는데, 그 안에는 사명당이 쓴 「안양루중창기」가 있다. 또, 취현암은 원래 조사당 옆에 있었던 부석사의 선원()이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이전되어 현재는 주지실과 종무소()로 사용되고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국보 제17호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과 국보 제45호인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국보 제46호인 영주 부석사 조사당벽화, 보물 제249호인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보물 제255호인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보물 제735호인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7호인 영주 부석사 원융국사비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원융국사비는 절의 동쪽 500m 지점에 위치하며 1054년에 건립한 것이다. 그 외에 삼층석탑 두기와 동쪽 언덕에는 1기의 고려 말 부도를 포함한 10여 기의 부도가 있다. 이 밖에도 이 절에는 석룡()을 비롯하여 대석단()·선묘정()·녹유전()·선비화()·석조()·맷돌 등이 있다. 석룡은 절의 창건과 관련된 것으로 현재 무량수전 밑에 묻혀 있는데, 머리 부분은 아미타불상 바로 밑에서부터 시작되며, 꼬리 부분은 석등 아래에 묻혀 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에 이 절을 개수할 때 이 거대한 석룡의 일부가 묻혀 있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자연적인 용의 비늘 모습이 있었다고 한다.

 

선묘정은 절의 동쪽에 있는데, 가뭄이 있을 때는 기우제를 드렸다고 한다. 대석단은 신라시대에 축조한 것으로 절의 입구에 있다. 거대한 축석()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크고 작은 면석()을 섞어 쌓은 것이 특징이다. 이 석단은 3단으로서 극락세계의 구품연화대()를 상징한다는 설이 있으나 명확한 근거는 없다. 무량수전 앞에 안양루를 오르는 석단이 2단으로 조성되었으므로, 대석단과 합하여 상·중·하의 셋으로 보는 가람 경영방법의 하나로 볼 수도 있다. 녹유전은 가로와 세로가 14㎝의 정방형 기와로서 두께는 7㎝이며, 벽돌 표면에 0.3㎜ 정도의 녹유를 발라 광택을 내게 한 신라시대의 유품이다. 이것은 『아미타경』에 극락세계의 땅이 유리로 되어 있다고 한 것에 입각하여 무량수전의 바닥에 깔았던 것이다.

 

선비화는 의상이 사용했던 지팡이를 꽂아 놓았더니 살아난 것이라 하는데, 『택리지()』에 의하면 의상이 죽을 때 “내가 여기를 떠난 뒤 이 지팡이에서 반드시 가지와 잎이 날 것이다. 이 나무가 말라죽지 않으면 내가 죽지 않으리라.” 하였다는 기록이 전한다.

 

영주 부석사 가을 단풍!!!

영주 부석사
내장산 단풍이 절경

 

부산 금정산 가을단풍

단양팔경 [丹陽八景]

단양군에 있는 8가지의 명승지를 의미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하선암():소백산맥을 흐르는 남한강 상류에 위치하는 단양 남쪽 4km 지점인 단성면() 대잠리()에 있으며, 심산유곡의 첫 경승지로서 불암()이라 부르던 3층의 넓은 바위를 조선 성종 때 임제광()이 선암()이라 부른 뒤부터 하선암이라 개칭하였으며 봄에는 철쭉꽃, 가을에는 단풍이 온 산을 물들이며 절경을 이룬다.

② 중선암():단양 남쪽 10km의 단성면 가산리()에 있으며, 삼선구곡()의 중심지이다. 흰색의 바위가 층층대를 이루고 있으며, 효종 때 곡운() 김수증()이 명명()한 것으로 전해온다. 암계류()에서 쌍룡()이 승천하였다 하여 쌍룡폭포라고도 한다.

③ 상선암():단양 남쪽 12km 지점의 가산리에 있으며, 중선암에서 약 2km 올라가면 수만 장의 청단대석()으로 된 벽과 반석 사이로 흐르는 계수()가 폭포를 이루고 있어 절경이며, 선조 때 수암() 권상하()가 상선암이라 명명하였다고 한다.

 사인암():단양 남쪽 8km 지점인 대강면() 사인암리()에 있으며, 덕절산(:780m) 줄기에 깎아지른 강변을 따라 치솟아 있는데, 우탁()이 사인재관() 때 이곳에서 자주 휴양한 데서 사인암이라 하였다고 한다.

 구담봉():단양 서쪽 8km 지점인 단성면 장회리()에 있으며, 남한강을 따라 깎아지른 듯한 장엄한 기암괴석으로 그 형상이 마치 거북같다 하여 구봉()이라고도 하였다.

 옥순봉():단양 서쪽 9km 지점의 장회리에 있으며, 그 솟아오른 봉우리는 자유분방하고 기상천외하여 예로부터 소금강()이라 불렀다. 1549년(명종 4) 단양 현감으로 부임한 이퇴계(退)가 석벽에 ‘’이라 각명()했다 하며, 우후죽순같이 솟아오른 천연적 형색이 희다 하여 옥순봉이라 하였다고 한다.

단양팔경,


⑦ 도담삼봉():단양 북쪽 12km 지점의 단양읍 도담리에 있다. 남한강의 수면을 뚫고 솟은 세 봉우리 가운데 남봉()은 첩봉() 또는 팔봉이라 하고, 북봉은 처봉() 또는 아들봉이라고 한다. 조선의 개국공신 정도전()이 이 곳에 은거하여 자신의 호를 이 도담삼봉에서 본떠 삼봉이라고 지었다고 한다.

⑧ 석문():단양 북쪽 12km 지점의 도담삼봉 하류에 있다. 남한강변에 높이 수십 척의 돌기둥이 좌우로 마주보고 서 있는 위에 돌다리가 걸려 있어서 무지개 형상을 하고 있다.

단양에는 그 밖에도 산자수명()한 죽령() 산정에서 떨어지는 죽령폭포, 운선계곡() 상류에 위치하는 칠성암(), 가을철의 단풍으로 절경을 이루는 북벽(), 소백산맥 중에 솟은 봉우리와 계곡이 절경을 이루는 구봉팔문(), 계절에 따라 변모하는 아름다운 금수산(), 고구려의 온달 장군이 축성했다는 온달성(), 길이 약 2km의 자연굴 천장에 통혈()이 있어 일광이 반사하는 일광굴(), 천태만상의 절경을 이루는 고수동굴() 등 제2 단양팔경도 알려져 있다.

 

합천 해인사 [陜川 海印寺]

대한불교 조계종 제12교구 본사로서 2009년 12월 21일 사적 제504호로 지정되었다. 신라 제40대 애장왕() 때의 순응()과 이정()이 당나라에서 돌아와 우두산(:가야산)에 초당()을 지은 데서 비롯된다. 그들이 선정()에 들었을 때 마침 애장왕비가 등창이 났는데 그 병을 낫게 해주자, 이에 감동한 왕은 가야산에 와서 원당()을 짓고 정사()를 돌보며 해인사의 창건에 착수하게 하였다. 순응이 절을 짓기 시작하고 이정이 이었으며, 그 뒤를 결언대덕()이 이어받아 주지가 되었다. 918년 고려를 건국한 태조는 당시의 주지 희랑()이 후백제의 견훤을 뿌리치고 도와준 데 대한 보답으로 이 절을 고려의 국찰()로 삼아 해동() 제일의 도량()이 되게 하였다.

1398년(태조 7)에 강화도 선원사()에 있던 고려팔만대장경판()을 지천사()로 옮겼다가 이듬해 이 곳으로 옮겨와 호국신앙의 요람이 되었다. 그 후 세조가 장경각()을 확장·개수하였으며, 그의 유지를 받든 왕대비들의 원력()으로 금당벽우()를 이룩하게 되었다. 제9대 성종() 때 가람을 대대적으로 증축했고, 근세에 이르러서는 불교 항일운동의 근거지가 되기도 하였다.

 사찰은 창건 이후 일곱 차례의 대화재를 만나 그때마다 중창되었는데, 현재의 건물들은 대개 조선 말엽에 중건한 것들로 50여 동에 이른다. 창건 당시의 유물로는 대적광전(殿) 앞뜰의 3층석탑과 석등 정도가 있을 뿐이다. 특히 국보 제32호인 대장경판과 제52호인 대장경판고() 및 석조() 여래입상(보물 264)은 유명한데, 불가사의한 일은 몇 차례의 화재를 당하면서도 팔만대장경판과 장경각만은 화를 입지 않고 옛 모습 그대로 있는 일이다. 그 밖에 주요 문화재로 보물 제518호인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 보물 제128호인 반야사 원경왕사비()도 있다.

통도사(:사찰)·송광사(:사찰)와 더불어 삼보()사찰 가운데 하나로 법보()사찰로 유명하다. 현재는 불교학원인 해인총림()이 있어 많은 학인()들로 붐빈다. 말사()는 150여개에 달하고 부속 암자로 백련암()·홍제암()·약수암()·원당암 등이 있다.

 

지리산화엄사, 구례 화엄사 [求禮 華嚴寺]

화엄사의 창건 및 중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었다.

중관대사() 해안(, 1567~?)이 1636년(인조 14년)에 쓴 『호남도구례현지리산대화엄사사적()』 등의 모든 사적기들은 “544년(신라 진흥왕 5, 백제 성왕 22) 인도의 승려인 연기조사()가 세웠다”고 하였다.

 

1.『구례속지()』에는 “진흥왕 4년에 연기조사가 세웠으며, 백제 법왕이 3,000명의 승려를 주석하게 하였다”고 부연하고 있다. 화엄사의 중건에 대해서도, “신라 선덕왕 때에 자장()이 증축하고, 문무왕 때에 의상()이 장륙전(殿)을 건립하였다”는 등의 기록이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에는 백제 땅에 속하였던 화엄사를 자장이 중건할 수 있었을까 하는 점, 797년(원성왕 13)에 번역된 『정원본사십화엄()』이 의상에 의하여 석각()되어 장륙전의 사방 벽에 장식될 수 없다고 하는 점, 그리고 양식으로 보아 현존 화엄사의 석조물이 모두 8세기 후반부터 9세기에 걸쳐 조성되었다고 하는 점 등에 의하여, 창건과 중건에 대한 의문이 일찍부터 제기되어 왔다. 이와 같은 의문은 1978년에 신라 경덕왕대의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이 발견됨으로써 완전히 풀렸다.

 

이 사경의 발문에 의하여 연기는 황룡사()의 승려로서 754년(경덕왕13) 8월부터 화엄경사경을 만들기 시작하여 이듬해 2월에 완성시켰던 실존인물임이 밝혀졌다. 그리하여 창건 연대가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 신라 제24대 왕) 때가 아닌 경덕왕(재위 742~765: 신라 제35대 왕) 때이고, 아울러 자장 및 의상의 중수 또한 사실이 아님이 입증되었다.

다만, 8세기보다 앞선 어느 시기부터 이 터에 가람이 있었고 그것이 연기조사 대에 이르러 대가람으로 확장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2. 중수: 이 절은 신라 말 도선()에 의하여 크게 확장되었고, 고려 광종 때에 홍경선사()가 퇴락한 건물을 중수하였으며, 문종이 전라도 및 경상도에서 이 절에 매년 곡물을 헌납하는 것을 허락함으로써, 이를 저장하기 위한 2채의 큰 창고를 일주문 밖에 짓기도 하였다. 또한, 인종은 정인왕사()로 하여금 이 절을 중수하게 하고, 1172년(명종 2) 도선국사의 비를 세우도록 하였으며, 충숙왕 때에는 조형왕사()가 대대적인 보수를 하였다.

 

조선시대의 화엄사는 1424년(세종 6)에 선종대본산()으로 승격되었지만, 임진왜란의 병화로 완전히 불타버렸고, 석경()마저 산산조각이 나고 말았다. 이에 각성()은 1630년(인조 8)에 중건을 시작하여 7년 만인 1636년에 대웅전을 비롯한 약간의 건물을 이룩하였고, 1649년 선종대가람()으로 승격되었다. 1702년(숙종 28)에는 각성의 뜻을 이어받은 성능()이 장륙전을 중건하였는데, 숙종은 이를 각황전(殿)이라 사액()하고 선교양종대가람()으로 격을 높였다. 이후에도 부분적인 보수가 계속 이루어졌지만 대규모의 중수는 없었다. 1757년(영조 33) 대웅전을 중수했고, 1769년 각황전을 중수했다. 1798년(정조 22)과 1827년(순조 27)에 각각 적조당과 보제루를 중수했다. 1977년 각황전 해체보수를 완료했으며, 1984년부터 만월당·일주문을 세웠다. 1989년 원융료·청풍당을 짓고, 연기암을 복원했다.

 

주 내용

1. 주요고승: 화엄종의 중심사찰이 되었던 이 절에는 창건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고승들이 머물면서 창사의 이념인 화엄사상의 구현이 이루어져 왔다. 창건주인 연기조사를 비롯하여 정행()·낭원()·현준()·결언()·관혜() 등의 화엄학승()들이 머물렀다. 특히 신라 말 화엄학이 남북악()으로 나누어져 대립할 때, 후백제 견훤()의 복전()이었던 관혜가, 고려 왕건()의 복전이었던 해인사의 희랑()과 대립된 학파()를 형성함으로써 이 절이 중요시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의천()이 이 절에 들러 연기조사의 영정()에 예를 표하고 그를 찬탄하는 시를 남겼으며, 의천의 문도인 정인왕사는 이곳에서 도량을 베풀었다.

 

조선시대에도 이곳에서 많은 고승이 배출되었다. 특히, 선수()가 『화엄경』을 강의하여 그 종풍()을 크게 드날린 뒤 각성·처능()·수초()·명안()·새봉()·조관(?)·윤장() 등이 그 뒤를 이어 화엄사상을 펼쳤다. 이들 외에도 해안()이나 임진왜란 당시 주지로 절을 수호한 설홍()·윤눌()을 위시한 많은 고승들이 이 절을 위하여 크게 기여하였고, 근세에는 대강사 진진응()이 머무르기도 하였다.

 

2. 당우와 문화재: 화엄사의 현존 건물은 각성이 중건한 17세기 이후의 것이다. ‘지리산화엄사’라는 편액이 걸린 일주문을 지나면, 좌우에 금강역사() 및 문수()·보현()의 동자상()을 안치한 금강문()이 있다. 그 바로 뒤에는 제3문인 천왕문()이 있는데, 전면 3칸의 맞배집으로 목각 사천왕상()을 안치하였다.

 

천왕문에서 약 50m 거리에 강당으로 사용되는 정면 7칸의 보제루()가 종루()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이곳을 지나면 화엄사의 중요한 당우들이 있다. 동서 쌍탑()의 정면에는 대웅전, 그 서쪽에는 각황전이 있으며, 이 밖에도 영산전(殿)·나한전(殿)·원통전(殿)·명부전(殿)과 노전(殿)으로 사용되는 삼전(殿) 및 요사()인 원융료()·청풍당()·만월전(滿殿) 등이 있다.

 

이 중 보물 제299호인 구례 화엄사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건물로서 조선 중기에 조성된 삼신()의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으며, 1757년에 제작된 보물 제1363호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탱( 殿 )이 있다. 또한, 국보 제67호인 구례 화엄사 각황전은 정면 7칸, 측면 5칸의 2층 팔작지붕으로 그 건축수법이 뛰어나다. 각황전 내부에는 3여래불상과 4보살상이 봉안되어 있다. 보제루()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절에는 각황전 앞 석등()과 사사자 삼층석탑( )·노주()·동서오층석탑(西)·석경 등의 중요한 유물이 전해 오고 있다. 국보 제12호인 각황전 앞의 통일신라시대 작품으로 보이는 높이 6.36m나 되는 거대한 석등은 8각의 하대석()이 병() 모양의 간석(竿)을 받치고 있고, 중간에 띠를 둘러 꽃무늬를 연이어 새긴 것으로 현존하는 국내 석등 중에서 가장 큰 것이며 통일신라시대의 웅건한 조각미를 간직한 대표적 작품이다.

 

각황전 서남쪽의 높은 대상()에는 국보 제35호인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과 석등이 있다. 이 석탑의 사방에는 머리로 석탑을 받치고 있는 네 마리의 사자와, 그 중앙에 합장을 한 채 머리로 탑을 받이고 서 있는 승상()이 있다. 이는 연기조사의 어머니인 비구니의 모습이라고 전하며, 석탑 바로 앞 석등의 아래쪽에도 꿇어앉은 한 승상이 조각되어 있는데, 이는 불탑을 머리에 이고 서 있는 어머니에게 효성이 지극한 연기조사가 석등을 머리에 이고 차공양을 올리는 모습이라고 한다. 이들 석탑과 석등은 그 능숙한 기법과 균형있는 조형미로도 주목되지만, 그 특이한 형태는 더욱 눈길을 끈다. 이 사사자석탑은 창건주 연기의 효성을 나타낸 것이기에 효대()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원통전 앞에는 네 마리의 사자가 이마로 방형()의 석단()을 받치고 있는데, 이를 흔히 원통전 앞 사자탑(보물 제300호)이라고도 한다.

대웅전 앞의 계단 아래에는 양식을 달리하는 동서 양탑이 있다. 보물 제132호인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은 보물 제133호인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에 비하여 아무런 조각과 장식이 없고, 단층기단()으로 되어 있다. 서탑은 1995년에 해체하여 보수되었는데, 이때 진신사리와 더불어 47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그 가운데는 신라시대에 조성된 필사본 다라니경과 불상을 찍어내는 청동불상주조틀 등이 있었다.

 

장륙전의 사방 벽은 화엄석경()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보물 제1040호인 이 구례 화엄사 화엄석경은 의상이 조성한 것이라는 전승이 있지만, 화엄사가 세워진 경덕왕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 석경은 불행히도 임진왜란의 병화로 장륙전이 불탈 때 파괴되어 많은 파편만이 남아 있다. 석경의 크기는 흔히 볼 수 있는 방전(: 네모난 벽돌) 정도이고, 사방 벽에 고정할 수 있는 홈이 아래위에 있다. 글자체는 쌍계사 진감국사비( )를 닮았다.

 

화엄사 영산회 괘불탱은1653년(효종 4)에 조성된 것으로서, 1997년 국보 제301호로 지정되었다. 이 밖에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2호인 구층암석등과 교지[: 선조()가 벽암선사()에게 하사] 1매, 예조사격() 1매, 예조홍각대사첩() 1매, 겸팔도총섭첩(), 예조대선사각성첩() 1매가 있다.

그리고 인조 하사 어석() 1건, 인조 하사 가사() 1령, 인조 하사 어작() 1대, 선조 어필각본() 1권, 선조 하사 서산대사발우〔西〕 1좌, 선조 하사 서산대사 향합() 1건, 각황전중건상량문(殿) 1매, 각황전삼여래사보살복장기(殿) 1축, 고종(), 인조 14년간 『화엄사사적()』 1책 등이 있다.

 

3. 산내 암자: 이 절의 부속 암자는 신라 경덕왕 때에는 81개나 되었다고 한다. 이 밖에도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에는 원소암()·청련암()·적기암()·은무암()·은선암()·백련사()·도선굴()·연기암()·보적암()·내원암()·봉천암()·문수암() 등의 상당히 많은 암자들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거의 모든 암자가 없어지고, 구층암()을 비롯한 금정암()과 지장암() 등의 세 암자만이 있을 뿐이다.

 

구층암에는 탑신 전면에 여래좌상을 조각한 3층석탑과 석등·배례석 등이 있고, 천불을 모신 천불보전(殿), 선실(), 요사 등의 건물이 있다. 1562년 설응()이 창건한 금정암에는 조선 고종 때에 세운 칠성전(殿)과 요사가 있고 관세음보살()을 모셨다. 1959년 원응()이 창건한 지장암의 본전인 보광전(殿)에는 석가모니불을 봉안하였다. 절 일원이 명승 제64호로 지정되어 있다.

 

오대산 월정사 [月精寺]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의 본사이다. 《삼국유사》에 나타난 창건 유래에는, 자장()이 당()나라에서 돌아온 643년(신라 선덕여왕 12)에 오대산이 문수보살()이 머무는 성지라고 생각하여 지금의 절터에 초암()을 짓고 머물면서 문수보살의 진신()을 친견하고자 하였다고 한다. 또한 민지()가 쓴 《봉안사리 개건사암 제일조사 전기()》에 인용한 《대산본기()》에는 이때 그가 머물던 곳이 바로 현재의 월정사 터이며, 자장은 훗날 다시 8척()의 방()을 짓고 7일 동안 머물렀다고도 전하고 있어 이 절은 643년 자장이 건립했다고 볼 수 있다. 자장은 이곳에서 초가집을 짓고 문수보살을 친견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태백산 정암사에서 입적하였다. 이후 신의() 선사가 암자를 건립하여 머물며 이곳에서 입적하였다. 이후 한동안은 머무는 승려가 없어 황폐해 졌다가 유연()이 머물면서 암자를 건립하여 사찰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다. 1307년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이일()이 중창하였고 1833년에 또다시 불이나 전소되었다. 1844년 영담(), 정암()이 사찰을 중건하였다.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1.4후퇴 때 사찰의 대부분이 전소되었으나 1964년 이후 탄허(), 만화(), 현해() 등이 중건하였다.  

문수보살이 머무는 성스러운 땅으로 신앙되고 있는 이 절은 《조선왕조실록》 등 귀중한 사서()를 보관하던 오대산 사고()가 있었고, 1464년(세조 10)에 말사인 상원사()를 중수한다는 말을 듣고 이를 돕고자 시주물()과 함께 보내 온 《오대산 상원사 중창권선문()》이 보관되어 있다.

주요 문화재로는 석가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하여 건립한 8각 9층석탑과 상원사 중창권선문이 있다. 이 밖에 일명 약왕보살상()이라고도 하는 보물 제139호인 석조 보살좌상()이 있다.

 

상원사 [上院寺]

대한불교조계종제4교구 본사인월정사()의 말사로, 월정사와는 이웃하고 있다. 원래의 절은 724년(신라 성덕왕 23) 신라의 대국통()이었고통도사() 등을 창건한자장()이 지었다고 한다. 지금은 종각()만 남고 건물은 8·15광복 후에 재건한 것이다. 현존 유물 중 가장 오래된 동종(국보 36)이 있다.

 

밀양 만어사 [萬魚寺]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만어산()에 있는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제1대 수로왕이 창건한 것으로 전하는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이 절은 46년(수로왕 5) 수로왕이 창건하였다는 전설이 전한다. 수로왕 때 가락국의 옥지()에서 살고 있던 독룡()과 만어산에 살던 나찰녀()가 서로 사귀면서 뇌우()와 우박을 내려 4년 동안 오곡이 결실을 맺지 못하게 하였다. 수로왕은 주술()로써 이 일을 금하려 하였으나 불가능하였으므로 예를 갖추고 인도 쪽을 향하여 부처를 청하였다. 부처가 신통으로 왕의 뜻을 알고 6비구와 1만의 천인()들을 데리고 와서 독룡과 나찰녀의 항복을 받고 설법수계()하여 모든 재앙을 물리쳤다. 이를 기리기 위해서 수로왕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만어사가는지도

또 다른 전설로는 옛날 동해 용왕의 아들이 수명이 다한 것을 알고 낙동강 건너에 있는 무척산()의 신승()을 찾아가서 새로 살 곳을 마련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신승은 가다가 멈추는 곳이 인연터라고 일러주었다. 왕자가 길을 떠나니 수많은 종류의 고기떼가 그의 뒤를 따랐는데, 머물러 쉰 곳이 이 절이었다. 그 뒤 용왕의 아들은 큰 미륵돌로 변하였고 수많은 고기들은 크고 작은 화석으로 굳어 버렸다고 한다.

만어사, 용왕의 아들이 변해서 된 미륵바위

현재 절의 미륵전(殿) 안에는 높이 5m 정도의 뾰족한 자연석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용왕의 아들이 변해서 된 미륵바위라고 하며, 이 미륵바위에 기원하면 아기를 낳지 못한 여인이 득남을 할 수 있다고 한다. 미륵전 아래에는 무수한 돌무덤이 첩첩이 깔려 있는데, 이것은 고기들이 변해서 된 만어석()이라 하며, 두들기면 맑은 쇳소리가 나기 때문에 종석()이라고도 한다.

고기들이 변해서 된 만어석( 萬 魚 石 )이라 하며, 두들기면 맑은 쇳소리가 나기 때문에 종석( 鐘 石 )이라고도 한다.

창건 이후 신라시대에는 왕들이 불공을 올리는 장소로 이용되었고, 1180년(명종 10) 중창하였으며, 1506년(중종 1) 화일()이 중건하였다. 이어서 1879년(고종 16)에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이 절의 당우로는 대웅전·미륵전·삼성각()·요사채·객사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보물 제466호로 지정된 만어사삼층석탑이 있다. 이 석탑은 1181년의 중창 때 건립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잡히고 견고하게 정제된 탑이다. 또, 산 위에 있는 수곽()의 물줄기는 매우 풍부한데, 이곳은 부처가 가사를 씻던 곳이라고 전해 온다.

 

북한산

참조항목

오대산국립공원,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정암사

상원사 동종,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복장전적,오대산,오대산국립공원

 

역참조항목

구룡사, 대한불교조계종, 동대산, 민지, 보덕사, 오대산,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남대봉, 남태봉, 동대산, 두로봉,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진부면, 대한민국의 불교

 

 

카테고리

 

출처 & 참고문헌,

[속리산 법주사 일원 [俗離山 法住寺 一圓] (두산백과)

[부석사 [浮石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삼국유사(三國遺事)』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79)

『한국의 사찰』 9부석사(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6)

『朝鮮金石總覽』(朝鮮總督府, 1919)

『조선불교통사』(이능화, 통문관, 1918)

[단양팔경 [丹陽八景] (두산백과)

[합천 해인사 [陜川 海印寺] (두산백과)

[구례 화엄사 [求禮 華嚴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대화엄수좌원통량중대사균여전(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

『택리지(擇里志)』

『호남도구례현지리산대화엄사사적(湖南道求禮縣智異山大華嚴寺事蹟)』

『구례화엄사사적(求禮華嚴寺事蹟)』

『봉성지(鳳城誌)』

『구례속지(求禮續誌)』

『조선금석총람』(조선총독부, 1919)

『조선불교통사』(이능화, 신문관, 1918)

『조선사찰사료』(조선총독부, 1911)

『화엄사』(소재구, 대원사, 2000)

『전통사찰총서: 광주·전남의 전통사찰 Ⅱ』7(사찰문화연구원, 1996)

『화엄사』(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6)

『한국건축양식론』(정인국, 일지사, 1974)

『고고미술』6-9(화엄사특집, 1965.9)

「8세기 화엄교학과 화엄사찰」(정병삼, 『한국사상과 문화』 64집, 2012)

「화엄사의 창건 시기와 그 배경」(김상현, 『동국사학』 37집, 2002)

「신라 경덕왕대 화엄경 사경 관여자에 대한 고찰」(이기백, 『역사학보』83, 1979)

「신라화엄사경과 그 변상도의 연구」(문명대, 『한국학보』14, 일지사, 1979)

「신라 경덕왕대의 백지묵서 화엄경」(황수영, 『역사학보』83, 1979)

[월정사 [月精寺] (두산백과)

[상원사 [上院寺] (두산백과)

『삼국유사(三國遺事)』

『명산고찰 따라』(이고운·박설산, 신문출판사, 1987)

『미리벌의 얼』(밀양군, 1983)

『한국사찰전서』(권상로,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만어사 [萬魚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테그 > #가을 #아름다운산 #속리산 법주사 #영주 부석사 #충주호와 단양팔경 #해인사 #지리산화엄사 #오대산 #단풍 #월정사 # 상원사 #밀양 만어사 # 영주 부석사 #가을 단풍 #월정사 # 상원사 #밀양 만어사 #영주 부석사 #단풍여행 #속리산 #법주사 #10월여행 #팔상전 #금동미륵대불 #보은속리산 #가을 단풍

'여행, 자연, 산, 바다, 강,호수, (국내,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타주,  (0) 2019.11.23
밀양십경,  (0) 2019.11.12
설악산 단풍,  (0) 2019.11.11
유람선 [excursion ship, 遊覽船]  (0) 2019.11.05
무지개 색의 의미,  (0) 2019.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