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자연, 산, 바다, 강,호수, (국내, 외),

구름"1

728x90

구름" 1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google_ad_client: "ca-pub-4162949345545299",

enable_page_level_ads: true

}); <script>

처음으로 이름을 붙인 사람은 영국의 루크 하워드(Luke Howard, 1772~1864)이다. 원래 약사였던 그는 아름답게 변하는 구름의 모습에 반해 기상학자로 직업을 바꾼 사람이다. 그는 평생 구름을 분류하고 이름을 붙이는 일을 했다.

빈틈없는 관찰자였던 하워드는 그 당시 갓 태어난 과학이었던 기상학에 적잖은 공헌을 했다. 현재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구름의 분류법과 이름은 그의 유산에 기초하고 있다. 그의 구름 명명법은 시인들에게도 영감을 주어 세계적인 시인인 괴테나 셸리 등이 그의 글을 보고 구름에 관한 시를 남기기도 했다.

“나는 대지와 물의 딸이며 / 하늘의 소중한 것이다 / 나는 대양과 강가의 틈새를 지나 변하지만 / 죽음을 모른다.”- 셸리의 시 ‘구름’ 중에서ㅡㅡ,

지금처럼 날씨의 과학적인 예측방법이 없었던 옛날에는 관천망기()의 방법을 이용했다. 하늘을 관측하고 공기의 흐름을 살펴 날씨를 예측한 것이다. 이 중 구름의 모양은 상당히 좋은 예측도구로 사용되었다.

제갈공명이 적벽대전에서 남동풍을 예측한 것은 구름 모양의 변화를 살폈기 때문일 것이라고 기상학자들은 말한다. 중국 양쯔 강 유역에서 겨울에 남동풍이 부는 경우는 강한 저기압이 접근할 때다. 그런데 저기압의 앞에는 온난전선이 생긴다. 온난전선이 다가오면 맨 먼저 권층운, 권적운 등의 상층운이 나타난다. 이어 점차 구름이 두꺼워지고 낮아지면서 고층운과 고적운이 나타난다. 전선이 더 가까이 다가오면 층적운이나 난층운이 나타나면서 비가 내린다. 제갈공명은 이런 구름의 모양 변화로 남동풍이 불 것을 예측했다는 것이다.

히말라야 상공에 떠 있는 햇무리. 무리(halo)는 태양이나 달 주위에 생기는 동그란 고리처럼 보이는 광학 현상을 말한다. <출처: (cc) Anton Yankovyi at Wikimedia.org>

‘달무리가 지면 비’라는 속담도 이와 일맥상통한다. 달무리나 햇무리는 권층운이나 엷은 고층운이 덮여 있을 때 나타난다. 이 구름들은 작은 빙정()들로 이루어져 있기에 무리(halo)가 생기는 것이다. 이런 구름들은 저기압의 전조이기에 비가 올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 속담은 통계적으로도 60% 정도의 정확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다.

‘양떼구름이 하늘에 걸리면 비’라는 속담도 있다. 양떼구름은 덩어리 모양의 고적운을 말한다. 이 구름도 저기압이 다가올 때 만들어지는 구름이다. 따라서 비가 내릴 확률이 높다. ‘하늘에 물결구름이 끼면 비’라는 속담도 마찬가지다. 파도가 치는 듯한 낮은 물결구름은 성질이 다른 기단의 접촉면인 전선면()에서 나타난다. 즉 전선이 가까이 있음을 보여주는 구름이기에 비가 내릴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산에 삿갓 모양의 구름이 걸리면 비가 올 징조’라는 말도 있다. 전선이 접근하면서 만들어지는 구름이기에 이런 속담이 생긴 것이다. 반대로 ‘뭉게구름이 피어나면 맑음’이라는 속담도 있다. 뭉게구름(적운)이 피어나는 날은 맑은 날이기 때문이다. ‘줄무늬가 있는 높은 구름(권운)은 좋은 날씨’라는 속담도 있다.

구름분류의 이해를 위한 초기 연구는 밀레투스의 과학자인 탈레스(Thales, 625 B.C.∼548 B.C.)에 의해서 수행되었지만 오늘날 사용되는 구름분류의 역사는 아스케시안 학회(Askesian Society)에서 1802년 루크 하워드(Luke Howard, 1772∼1864)에 의한 구름분류의 강의로부터 시작되었다. 여기에서 하워드는 어떻게 구름이 4가지 기본 구름모양(genera)으로 분류되는지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4가지 기본 구름모양은 실 모양 구름인 권운(cirrus), 무더기 구름인 적운(cumulus), 평평한 구름인 층운(stratus), 비구름인 난운(nimbus)이다.

구름은 나타나는 모양에 따라서 10개의 기본 구름모양(Genera)으로 나눈다. 그리고 발생하는 높이에 따라 하층구름, 중층구름, 상층구름, 연직 발달 구름으로 구분된다. 기본 구름모양은 그 형태나 내부 구조에 따라서 다시 종(species)으로 세분되며, 이들은 구름 조각들의 배열상태나 투명도에 따라서 변종(variaties)으로 다시 나누어진다. 관측된 구름은 반드시 어떤 하나의 기본 구름모양에 속하여 단 하나의 종의 명칭만을 가질 수 있다.

종은 서로 확연히 구분되기 때문에 하나의 구름에 대해서 둘 이상의 종의 명칭을 가지지 못한다. 그러나 변종은 여러 가지 기본 운형에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한 가지 구름에도 몇 가지 변종의 명칭을 붙여서 사용할 수 있다. 구름은 때때로 그 구름에 붙어 있는 일부분이 특색 있는 구름, 즉 보충형(supplementary features)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그 구름과는 별도로 통상 작은 구름이 부수하여 나타나는 부속구름(accessary clouds)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부속구름은 원 구름에 붙어 있는 수도 있고 따로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표에 기본 구름모양, 종, 변종, 보충 형, 부속구름, 어미구름의 이름, 부호, 약자 등을 나타내었다.

기본구름모양, 종, 변종, 보충 형, 부속 구름, 모운의 이름, 부호, 약자.

기본구름모양, 종, 변종, 보충 형, 부속 구름, 모운의 이름, 부호, 약자.기본운형부호종약어관련되는 구름

Cirrus

Ci(권운)

Fractus

fra(단편구름)

St, Cu

Cirrocumulus

Cc(권적운)

Nebulus

neb(안개구름)

St, Cs

Cirrostratus

Cs(권층운)

Stratiformis

str(층상구름)

Sc,Ac, Cc

Altocumulus

Ac(고적운)

Lenticularis

len(렌즈구름)

Sc,Ac,Cc, Cc

Altostratus

As(고층운)

Castellanus

cas(탑상구름)

Sc,Ac,Ci

Nimbostratus

Ns(난층운)

Humilis

hum(편평구름)

Cu

Stratocumulus

Sc(층적운)

Mediocris

med(중간구름)

Cu

Stratus

St(층운)

Congestus

con(웅대구름)

Cu

Cumulus

Cu(적운)

Calvus

cal(무모구름)

Cb

Cumulonimbus

Cb(적란운)

Capillatus

cap(다모구름)

Cb

flo(수술구름)

Floccus

flo(수술구름)

Ac, Ci, Cc

fib(섬유구름)

Fibratus

fib(섬유구름)

Ci, Cs

spi(농밀구름)

Spissatus

spi(농밀구름)

Ci

unc(낚시구름)

Uncinus

unc(낚시구름)

Ci

Mother-clouds(모운), i.e. Stratocumulus cumulogenitus-Sc cugen

Mother-clouds(모운), i.e. Stratocumulus cumulogenitus-Sc cugen변종약어보충 형약어부속구름약어

Duplicatus

du(이중구름)

Virga

vir(미류구름)

Pannus

pan(조각구름)

Intortus

in(엉킨구름)

Praecipitatio

pra(강수구름)

Pielus

pil(모자구름)

Lacunosus

la(벌집구름)

Mamma

mam(유방구름)

Velum

vel(베일구름)

Radistus

ra(방사구름)

Arcus

arc(아치구름)

 

 

Undulatus

un(파상구름)

Incus

inc(쇠모루구름)

 

 

Vertebratus

ve(늑골구름)

Tuba

tub(깔때기구름)

 

 

Opacus

op(불투명구름)

 

 

 

 

Perlucidus

pe(틈새구름)

 

 

 

 

Translucidus

tr(반투명구름)

 

 

 

 

 

금문교 상공에 떠 있는 권운 <출처: (cc) Brocken Inaglory at Wikimedia.org>

구름의 외관상 모양을 말한다. 다음과 같이 3가지 기본형으로 구분한다.
1) 권운형(cirriform cloud) 섬유상의 구름으로서 매우 높은 고도에서 나타난다.
2) 적운형(cumuliform cloud) 돔(dome) 또는 탑모양의 연직으로 발달한 구름으로 어느 고도에서나 나타난다.
3) 층운형(stratiform cloud) 두께에 비하여 수평방향의 범위가 훨씬 크고 어느 고도에서나 나타난다.
4) 기본 구름모양 구름의 모양과 고도에 따라 10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층상운 종류열대지방온대지방극지방대류운

고층운

권운, 권적운, 권층운

6 km∼18 km

5 km∼13 km

3 km∼8 km

중층운

고층운, 고적운

2 km∼8 km

2 km∼7 km

2 km∼4 km

하층운

층적운, 층운, 난층운

지상∼2 km

지상∼2 km

지상∼2 km

적운

보통 0.5 km∼6 km 고도범위에서 발달하며, 그 이상까지 발달하는 경우도 있다.

적란운

뇌우(때로는 우박)를 동반하며 대류권계면 고도까지 발달한다.

 

출처 & 참고문헌,

[무지개 [Rainbow] - 기상 현상중 가장 아름다운 천상의 이미지 (지구과학산책,)

[무지개 - 물방울이 만들어 내는 하늘의 색동 띠 (대단한 지구여행, 2011..,)[재미있는 날씨와 기후 변화 이야기,

[무지개 - 물방울이 만들어 내는 하늘의 색동 띠 (대단한 지구여행, 2011..,)

[무지개 색깔은 나라마다 달라요? (재미있는 날씨와 기후 변화 이야기, 2014..,)[네이버 지식백과] 

구름 - 하늘에 떠다니는 물과 얼음 (지구과학산책, 반기성)

[구름분류 [雲分類, cloud classification] (지구과학사전, 2009. 8. 30., (사)한국지구과학회)

[구름모양 [雲形, cloud form] (지구과학사전, 2009. 8. 30., (사)한국지구과학회)

 

테그 >>> #구름 #광현상 #순수과학 #지구과학 #기상 #기후 #상승기류 #난기류 #기압 #채운현상 #무지개 #오로라 #구름모양 #구름분류  

'여행, 자연, 산, 바다, 강,호수, (국내,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지개,  (0) 2019.11.04
무지개, & 구름  (0) 2019.11.04
구름,cloud.  (0) 2019.11.04
빛,[light]  (0) 2019.10.31
수렴동계곡,  (0) 2019.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