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라.역사(국내 .각지역.)

함양,1

728x90

함양,1

<script async src="//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script>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google_ad_client: "ca-pub-4162949345545299",

enable_page_level_ads: true

});

</script>

 

경상남도 서부에 있는 군.
면적 : 724.73㎢
인구 : 4만 5785명(2001)
인구밀도 : 63명/㎢(2001)
가구수 : 1만 6823(2001)
행정구분 : 1읍 10면
군청 소재지 :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 31-2
군의 꽃 : 철쭉
군의 나무 : 느티나무

면적 724.73㎢, 인구 4만 5785명(2001)이다. 남동쪽으로 산청군, 북동쪽으로 거창군, 북서쪽으로 전라북도 장수군, 남쪽으로 하동군, 남서쪽으로 전라북도 남원시와 접한다.

암석 분포는 주로 편마암(片麻岩)이 대종을 이루고 북·중부에서는 화강암을 볼 수 있다. 지형은 북쪽으로 남덕유산(南德裕山:1,507m), 남쪽으로 지리산(智異山)과 경계를 이룬 고위 평탄면으로 이밖에 깃대봉(1,015m)·월봉산(月峰山:1,279m)·황석산(黃石山:1,080m)·삼봉산(三峰山:1,187m) 등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위천(渭川)·남계천(濫溪川)·옥계천(玉溪川)·임천강(臨川江)의 여러 하천이 산간 침식분지를 형성한다. 깃대봉의 서사면은 커다란 바위가 흩어져 있고 자갈이 많아서 개간하기 곤란한 곳도 있다. 그러나 끝부분으로 갈수록 표토가 두껍고 자갈이 적어서 농경지로 적합하기 때문에 계곡 주변에는 계단경작이 이루어지는 한편, 대나무가 잘 자란다.

기후는 1월 평균기온 -1.5℃, 8월 평균기온 25℃, 연평균 12.4℃를 나타내고, 연강수량 1,395mm를 기록하고 있다.

2. 연혁
함양군은 신라 때는 속함군(速含郡), 757년(경덕왕 16)에 천령군(天嶺郡)이라 하였다. 고려시대인 983년(성종 2)에 허주도단련사(許州都團練使)로 승격하였고 1010년(현종 1) 함양군, 1172년(명종 2)에 함양현으로 강등되어 현에 감무를 두었다.

조선시대인 1395년(태조 4) 군(郡)으로 승격하였다. 1629년(인조 7)에 현으로 바뀌었고 1729년(영조 5) 함양부(咸陽府)로 승격하였다. 1914년 안의군(安義郡)에 있던 현내(縣內)·황곡(黃谷)·초점(草岾)·대대(大垈)·지대(知代)·서상(西上)·서하(西下) 등 7개 면을 통합해서 함양군으로 합병하였다. 1933년 대지면이 안의면(安義面)으로 합병되어 13개 면에서 12개 면이 되었다.

1957년에는 석복면(席卜面)을 함양면에 이속시켜 함양읍으로 승격시켰으며, 1973년에 안의면 춘전리(春田里)·진목리(眞木里)를 거창군 남상면(南上面)에 이관하였다.

2001년 현재 함양읍·서하면(西下面)·마천면(馬川面)·서상면(西上面)·휴천면(休川面)·백전면(栢田面)·병곡면(甁谷面)·유림면(柳林面)·수동면(水東面)·지곡면(池谷面)·안의면 등 1읍 10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3. 산업
함양군은 소백산맥과 그 주변 산지로 둘러싸인 산간분지 지역으로 경지율이 14.8%이다. 이 가운데 논은 총면적의 9.9%인 7,149ha, 밭은 4.9%인 3,539ha를 차지한다. 전체 가구수 가운데 농가구수는 54.5%, 전체 인구 중에 농민수는 51%로 다른 지역에 비해 1차산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많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콩·감자 등과 고추·마늘을 비롯한 채소류·사과·감·복숭아 등 과일이 생산된다. 그밖에 인삼·잎담배·참깨 등의 재배가 활발하다.

한우·돼지·산양·닭 등의 가축 사육 및 양봉이 유명하다. 2000년도 사육현황은 한우 9,697마리, 돼지 3만 5938마리, 산양 4,688마리, 닭 20만 6367마리, 꿀벌 1만 8524군 등이다. 임야 면적이 넓어(총면적의 78.4%) 밤·호두·잣·대추·은행·버섯 및 목재 생산량이 많으며 특히 한지 생산이 유명하다.

광산물로는 고령토 생산량이 많다. 산간 지대로서 공업 입지가 불리하다. 제조업체는 중소기업규모로 51개 업체에 862명의 종업원이 종사하며, 최근 수동농공단지가 준공되었다. 또 수동면 우명리 일원에는 면적 33만 1000㎡ 규모에 화물터미널·집배송단지·농산물도매단지·중장비조립제조시설 등을 갖춘 물류단지가 2004년 완공을 목표로 조성 중에 있다.

4. 교통관광
함양군은 소백산맥이 영남지방과 호남지방의 경계를 이루고 있어 육십령과 팔량치 등을 제외하면 예로부터 교통이 불편하였다. 그러나 88올림픽고속도로가 함양을 통과하여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로의 교통이 편리해졌고, 남원·진주·의령·구례·거창·진안·장수 등 인근 도시로 통하는 도로 교통이 편리해졌다.   

문화재는 2001년 현재 보물 4점, 사적 2점, 중요민속자료 2점, 천연기념물 4점 등 12점의 국가지정문화재를 비롯해 곳곳에 도지정문화재와 향토유적이 있다. 

함양 극락사지 석조여래입상(咸陽 極樂寺址 石造如來立像)은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옥산리, 극락사지에 있는 불상이다.

1972년 2월 12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4호 극락사지 석조여래입상으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부근 밭에서 발견되어 옛 극락사터로 추정되는 곳에 옮겨 모시고 있다. 극락사에 관해서는『동국여지승람』에 ‘극락암은 백운산에 있었는데 이제는 없다’는 기록으로 보아 임진왜란 때 없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불신과 대좌를 하나의 돌로 만들었으며, 얼굴과 손의 손상을 제외하면 불상의 상태는 좋은 편이다. 신체에 비해 큰 얼굴, 좁은 어깨, 유난히 잘록한 허리, 몸에 달라붙은 양 팔 등에서 마치 돌기둥 같은 느낌을 준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에는 가슴에서부터 다리부분까지 U자형의 주름을 촘촘하게 새기고 있다.

전체적으로 경직된 신체의 표현, 형식화된 옷주름 등을 볼 때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석불상으로 추정된다.

보물로는 승안사지3층석탑(보물 294)·마천면마애여래입상(보물 375)·석조여래좌상(보물 376)·벽송사3층석탑(보물 474), 사적으로는 사근산성(사적 152)·황석산성(사적 322), 중요민속자료로는 정병호가옥(중요민속자료 186)·허삼둘가옥(중요민속자료 207), 천연기념물로는 함양 상림(천연기념물 154)·목현리의 구송(천연기념물 358)·학사루 느티나무(천연기념물 407)·운곡리의 은행나무(천연기념물 406) 등이 있다.

             

함양 척화비: 

주소: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 349-1

함양 용산사지석조여래입상

함양 용산사지석조여래입상: 주소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상림3길 32

별점 0점

함량서상면 극낙사지 석조여래입상.

함양 서상면 극낙사지 석조여래입상.

관광자원으로는 지리산국립공원과 덕유산국립공원이 있다. 이 지역은 희귀한 동·식물과 계곡·폭포 등 경치가 아름다운 산악휴양관광지로서 많은 관광객이 모여든다. 이와 함께 서하면 다곡리, 지곡면 덕암리 일원 1575만㎡ 면적에 스키장·눈썰매장·골프장·호텔·콘도 등을 갖춘 다곡리조트개발계획이 2006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 중에 있다.


5. 사회문화
함양군의 교육기관으로는 2001년 현재 초등학교 13개교, 중학교 6개교, 고등학교 4개교가 있고 공공 도서관 1개소, 유선방송사 3개소, 월간 신문사 2개소가 있다. 보건의료기관으로는 병원 1개소, 의원 10개소, 한방의원 8개소, 치과의원 5개소, 보건소 1개소, 보건지소 5개소, 보건진료소 4개소가 있다.

문화행사로는 최치원(崔致遠)의 유업을 추모하고 선현의 유덕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해마다 10월 함양의 옛 지명을 딴 천령문화제가 열린다. 행사는 풍년과 민안태평을 천지 신령에게 기원하는 천령제를 시작으로 전야제와 서제식·민속행사·문예행사·향토행사 등이 거행된다. 민요로 보리타작노래가 전해진다.

함양문화재목록              ※교육청 유물유적조

함양 문화재 일일 관광 십선  (김윤수 십선)

문화재 현황
咸陽文化財目錄 99.2.12.

1. 국보: 없음

2. 보물

보물 제294호 승안사지삼층석탑 昇安寺址三層石塔1
보물 제375호 함양마천마애여래입상 咸陽馬川面磨崖如來立像2
보물 제376호 함양석조여래입상 咸陽石造如來坐像3
보물 제474호 벽송사삼층석탑 碧松寺三層石塔4

3. 사적

사적 제152호 함양사근산성 咸陽沙斤山城5
사적 제322호 황석산성 黃石山城6

4. 명승 없음

5. 천연기념물

천연기념물 제154호 함양상림 咸陽上林7
천연기념물 제358호 함양목현리구송 咸陽木峴里九松8
천연기념물 제406호 운곡리은행나무 雲谷里銀杏樹9
천연기념물 제407호 학사루느티나무 學士樓거(木+擧)樹10

6. 중요무형문화재 없음

7. 중요민속자료

중요민속자료 제186호 함양정병호가옥 咸陽鄭炳鎬家屋11
중요민속자료 제207호 함양허삼둘가옥 咸陽許三斗乙家屋12

8. 경상남도유형문화재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2호 함양이은리석불 咸陽吏隱里石佛13;1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3호 승안사지석조여래좌상 昇安寺址石造如來立像14;2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4호 금대암삼층석탑 金臺庵三層石塔15;3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5호 안국사부도 安國寺浮屠16;4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44호 극락사지석조여래입상 極樂寺址石造如來立像17;5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54호 용추사일주문 龍湫寺一柱門18;6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90호 함양학사루 咸陽學士樓19;7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91호 함양남계서원 咸陽藍溪書院20;8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92호 광풍루 光風樓21;9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166호 일두선생문집책판 一두先生文集冊板22;10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167호 개암선생문집책판 介庵先生文集冊板23;11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225호 함양향교 咸陽鄕校24;12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226호 안의향교 安義鄕校25;13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258호 함화루 咸化樓26;14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00호 옥계신도비 玉溪神道碑27;15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13호 김교적개공신교서 金嶠敵愾功臣敎書28;16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14호 경암집책판 鏡巖集冊板29;17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15호 묘법연화경책판 妙法蓮華經冊板30;18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16호 벽송당지엄영정 碧松堂智嚴影幀31;19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17호 청향당실기책판 淸香堂實紀冊板32;20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18호 용산사지석조여래입상 龍山寺址石造如來立像33;21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19호 대덕리마애여래입상 大德里磨崖如來立像34;22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33호 대대리마애여래입상 大垈里磨崖如來立像35;23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34호 용성세고책판 龍城世稿冊板36;24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37호 안국사은광대화상부도 安國寺隱光大和尙浮屠37;25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41호 남양홍씨병신보책판 南陽洪氏丙申譜冊板38;26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79호 함양용추사건륭18년천룡탱 (咸陽龍湫寺乾隆十八年天龍幀)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962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80호 함양용추사지장시왕상(咸陽龍湫寺地藏十王像)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962

9. 경상남도문화재자료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56호 청계서원 靑溪書院39;1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75호 문창후최선생신도비 文昌侯崔先生神道碑40;2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76호 교수정 敎授亭41;3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121호 우명리정씨고가 牛鳴里鄭氏古家42;4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209호 송호서원 松湖書院43;5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239호 일두정여창선생사당비 一두鄭汝昌先生祠堂碑44;6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240호 열녀학생임술증처유인밀양박씨지려 烈女學生林述曾妻孺人密陽朴氏之閭45;7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264호 함양척화비 咸陽斥和碑46;8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265호 상무좌우사접장하경순포선불망비 商務左右社接長河璟詢褒善不忘碑47;9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268호 금대암동종 金臺庵銅鐘48;10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269호 금대암신중탱화 金臺庵神衆幀畵49;11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326호 함양용추사무학대사영정 (咸陽龍湫寺無學大師影幀)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962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326-2호 함양용추사청허대사영정(咸陽龍湫寺淸虛大師影幀)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962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326-3호 함양용추사송운대사영정(咸陽龍湫寺松雲大師影幀)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962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326-4호 함양용추사각연대사영정 (咸陽龍湫寺覺然大師影幀)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962

10. 경상남도기념물

경상남도기념물 제165호 세종왕자한남군묘역 世宗王子漢南君墓域50;1
경상남도기념물 제171호 백천리고분군 白川里古墳群51;2
경상남도기념물 제172호 팔령산성 八嶺山城52;3
경상남도기념물 제173호 마안산성 馬鞍山城53;4
경상남도기념물 제174호 방지산성 芳池山城54;5
경상남도기념물 제211호 개평리소나무 介坪里松樹55;6
경상남도기념물 제212호 금대암전나무 金臺庵종(木+從)樹56;7
경상남도기념물 제213호 도천리소나무 道川里松樹57;

경상남도기념물 제229호 함양백룡성선사화과원유허지 (咸陽白龍城禪師華果院遺墟址) 경남 함양군 백전리 백운리 50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79호 함양용추사건륭18년천룡탱 (咸陽龍湫寺乾隆十八年天龍幀)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962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380호 함양용추사지장시왕상(咸陽龍湫寺地藏十王像)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962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226호 안의향교 安義鄕校25;13

상림, 농월정 등등 기타자세한 사항은 함양 군청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잘 알수 있읍니다.

 

출처 & 참고문헌.

경상남도 고시 제2018-485호,《경상남도 지정문화재(문화재자료) 명칭변경 고시》, 경상남도지사, 2018-12-20

분류

출처: 함양역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