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 개인, (개발품) 소개.

호미.

728x90

호미. 鋤. 

국적 > 한국 

 

논이나 밭을 매는 데에 쓰는 연장.

호미는 쇠날의 앞이 뾰족하고 위는 넓적하며 한쪽에 가느다란 목이 휘어 꼬부라지고 그 끝에 둥근 나무토막의 자루를 박은 김매는데 쓰는 농기구이다.

 
금속 > 철제(), 초제 > 볏짚
길이 33
산업/생업 > 농업 > 파종경작 > 호미
국립민속박물관

 

논밭의 김을 매거나 주로 사용하는 한국 고유의 연장이다.

우리 호미는 서유구(, 1764∼1827)의 『임원경제지』에서도 동서(, 동쪽나라의 호미)라고 했을 만큼 우리나라에서나 볼 수 있는 연장이다.

부등변 삼각형인 날의 한쪽 모서리에 목을 휘어서(용접기가 나오면서 이어대고) 거기에 자루를 박은 독특한 형태의 연장인 호미는 이미 통일신라시대의 안압지 출토유물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오늘날의 호미와 흡사 하다다.

우리나라의 호미는 그 기능과 모양에 따라 논호미와 밭 호미로 나눈다.

논 호미는 날 끝이 뾰족하고, 날의 위쪽 나비가 약 10cm, ~11cm정도날 길이가 19∼24cm로 날이 크고 넓적하다.

날의 가운데가 불룩하여 호미 날로 흙을 찍어 잡아당기면 흙밥이 잘 퍼지면서 논매기와 골타기에 알맞으며 물에 젖은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나무자루 또는 새끼로 감기도 하며. 같은 논 호미라도 남쪽 지방의 것은 날 폭이 좁고 끝이 뾰족하기도 하지만 중부지방의 것은 날폭이 넓은 편이 많다. 또 다른 명칭 호매(鋤) 라고도한다.

시대적인 손도 구" 영주 대장간 호미는 한류의 중심에 서 있다. 지난해 세계적 온라인 쇼핑몰인 미국 아마존에서 ‘대박’을 치면서 아마존 원예용품 ‘톱 10’ 정도에 오르기도! ‘영주 대장간 호미(YoungjuDaejanggan ho-mi·사진)’라고 당당히 명성을 날린다.

이베이 등 다른 해외 기타 쇼핑몰에서도 잘 팔리고 있으며 입에서 입소문으로 퍼지기도 하고 있다. 정원 가꾸는 방법을 소개하는 유튜브 동영상에 등장하면서 뜨기" 시작하고 있다.

한국서 4 ~5000원인~5000 원인 정도의 호미는 한 자루에 해외에선 약 14~20달러(2만 2600원) 정도에 팔린다 고들 한다.

미국에선 삽만 봤지 꺾여서 폭은 위로 넓어지면서 약간의 반원인"‘('ㄱ'} 모양으로 된 한국에서의 이름으로 된 호미는 원예 기구로는 처음이고 '손목'에 힘을 많이 주지 않아도 되는 현지 사용자들의 칭찬이 들리고 있다. 

호미를 만든 사람은 60대의 대장장이다.

경북 영주시 영주역 주변. ‘영주 대장간’이다.

‘땅·땅·땅’ 망치질 소리’망치질소리 석노기(65)씨가 검은색 그을림이 묻은 바지와 티셔츠를 입고, 불에 달궈진 쇠를 두드리고.... ‘ㄱ’ 자로 구부러진 호미를 보니 오랜 세월 두두리며 땀 흘린 호미. 바로 그 아마존 호미이다. 

대장장이인 석노기 씨는 “올해로 대장간을 창업한 지 약 43년 본인이 호미를 만든 지 52년째 된다. 

미국에서 호미가 인기라는 게 실감 나지 않는단다”그리하면서도 환하게 웃었다.

“지난해 중순쯤 아마존에서 호미 주문이 갑자기 많이 들어왔어요.

아마존이라고 해서 어떤 숲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단체로 호미질하려나 했어요.”

아마존이 쇼핑몰인지 몰랐던 것이다.(석 씨의 말)“

원래 10여 년 전부터 유통업체를 통해 호주 등 해외에 한 달에 서너 자루 호미를 보내긴 했는데, 지난해 갑자기 주문이 늘어나 놀랐다고 한다.

지난해 6개월간 1000개 넘게 수출했으며 올해 들어 3개월간 1000개 정도를 보낸 것 같다고 한다.

최근엔 네팔 등 다른 나라에서도 구매 문의가 있었다고 전한다.”  

영주 대장간 호미의 주재료는 차량용 스프링이다.

화물차에 들어가는 ‘판 스프링’으로 불리는 쇳. 석 씨는 이를 스프링 공장이나 재활용 업체 폐차장에서 가져다 쓴다고도 하며 차량용 스프링은 재질 자체가 견고해 호미 재료로 최상이다. 

그는 판 스프링을 받아오면 호미 크기에 맞춰 사각형으로 자르고. 그러고 이 사각형 쇳덩어리를 가마 불에 넣었다가 빼내 두드리고, 다시 불에 넣었다가 수차례 빼내 두드린다.

불에는 약 7번 정도 두드린다 메질은 수천번 넘게 한다.

호미 형태가 잡히면 겉면을 가공해 매끈하게 만든 뒤 나무 손잡이를 끼운다. 한 자루의 영주 대장간 호미의 탄생 과정이다. 

손바닥만 한 쇳덩어리가 중자(230g) 호미 한 자루로 바뀌는 시간은 대략 30분 정도다.

그의 호미는 100% 수작업이며 70대 어르신 한두 명이 도와주는 날엔 하루 120여 자루 정도 만들 정도이며 석 씨 혼자선 하루 50 ~ 60자루 정도 만들 수 있고도 한다.

석 씨는 “영주대장간 호미의 인기비결은 손으로 다 만들기 때문에 중국산 등 다른 호미보다 날이 정교하고, 튼튼하다는 점이라고 했다. 

석 씨는 오른손 손가락이 호미 날처럼 마디가 휘어져 있다. 오랫동안 망치 같은 도구를 잡고 망치질을 하다보니 손가락이 이에 맞춰 휘어져 버린 것! 

초교 졸업 후인 14살 정도부터 대장관 생활을 시작한 석씨는 후계자를 찾고 있지만 그간 시골 대장간에서 ‘수련’하겠다는 젊은 이가 없어 포기하다시피 했었다.

그런데 아마존 대박 후 호미 제작 기술을 배우겠다는 연락이 오기 시작했다.

최근 해외교포라는 한 청년이 5월 정도 찾겠다고 연락이 왔어며, 다음 달에도 경기도에서 한 청년이 대장간에 오기로 했다. 

논 호미는 물이 있는 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호미자루에 짚을 감은 것이다.

논매기 때 쓰며 물이 묻어도 미끄럽지 않고 부드러워 손바닥이 잘 상하지 않는다.

호미는 씨앗심기, 논이나 밭의 김매기, 북돋우기, 옮겨심기, 흙을 파서 뒤집기 등 다양한 작업에 쓰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농기구의 하나이다.

괭이에서 발전한 농기구로 알려져 있으며, 평남 맹산 대평리의 청동기 유적지, 경기도 양평의 초기 철기 시대 유적지에서 호미가 출토된 것으로 보아 고대로부터 농경의 중요한 연장임을 알 수 있다.

호미는 날, 슴베, 자루로 구성된다.

모양은 무딘 쇠날의 앞이 뾰족하고 위는 넓적하고 한 끝이 휘어져 가늘게 꼬부라진 곳에 둥근 나무자루를 박아 사용한다.

각 지방에 따라 호맹이. 호무. 홈이. 호마니. 허매. 허미. 희 미라 고도한다. 옛날에는 호. 홈의 라고 하였다.

호미는 우선 크게 논 호미와 밭 호미로 나뉜다.

밭 호미는 날 끝이 평평해서 흙 표면의 잡초를 긁는 데 편리하며, 밭작물 재배에 사용되는데 앉아서 쓰는 호미와 서서 사용하는 선호 미가 있다. 논 호미는 물이 있는 논에서 사용하도록 만들어졌다.

밭 호미에 비해 자루가 짧고 세모꼴로 끝이 날카로우며 흙에 깊이 꽂아서 뒤집어 흙을 뽑는다. 

밭매기에서는 호미가 1년 내내 두루 쓰이고, 논매기일 경우 음력 7월 무렵에 세 벌 논매기가 끝나면 ‘호미씻이’라고 하여 호미를 씻어서 걸어 두고 농부나 일꾼이 중심이 되어 술을 마시고 흥겹게 하루를 노는 풍습이 있다. 

지방과 토질에 따라 호미 날의 너비와 두께가 약간씩 다르게 나타나는데, 북으로 갈수록 호미 날과 자루가 넓고 길며 남쪽일수록 날이 가늘고 자루도 짧아진다. 

사용하는 지방의 자연적인 조건과 농작물에 따라 보습형, 낫형, 세모형 등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보습형은 중부지방에서 많이 쓰이며, 쟁기의 보습처럼 날이 뾰족하고 위는 넓적하다. 

낫형은 전남 및 경남. 제주도 등지에서 쓰이는데, 낫과 같이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길며 그 끝이 예리하여 자갈밭이나 저항 물이 많은 밭에서 쓰인다. 

남부의 낫형 호미는 중부에서 쓰이는 보습형에 비해 날이 적으며, 날과 호미가 이루는 각도가 완만한 편이다.

충청 및 중부 이북지방에서 주로 쓰는 세모형은 우리나라 호미 중 날과 자루가 제일 길며 풀을 깎는데 편리하다.

이러한 호미의 형태적 다양성은 토질, 작물, 경작방법에 따른 적응의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15∼20cm의 발이 4개가 달려 마치 쇠스랑 연장도 또 다른 이름 ‘논 호미’라고도 하는데 주로 호남지방에서 논에서 볏골 사이의 흙을 뒤집고 거기에 난 김을 매는 데 사용했다.

‘간수메’라고도 불리는 이 호미는 발의 중간이 굽어 땅을 찍어 흙을 일구기가 쉽다.

밭 호미 또는 논 호미와는 달리 형태가 매우 다양함도 많다.

밭호미에는 논호미와 같이 뾰족한 쪽이 날 끝이 되는 외 귀호미 와 삼각형의 한 변이 날 끝인 양귀 호미가 있다.

외귀 호미는 중부 이남 지방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해안 지방의 것일수록 날이 작고 뾰족하다.

이러한 현상은 비가 많은 지방일수록 두드러져서 ‘골갱이’라고 불리는 제주도 호미는 마치 갈고리처럼 날이 예리하고 작다.

비가 많은 지역에서는 김의 뿌리가 땅 속 깊이 내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중부 이북의 산간지방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양귀 호미는 삼각형의 날의 한 변이 바닥이 되므로 날 끝(귀)이 양쪽에 있어 ‘양귀 호미’라고 부른다.

일반 호미보다 자루가 길고, 날도 크고 무겁다.

양귀 호미의 날 끝이 평평한 것은 비가 적게 오는 곳에서는 김의 뿌리가 깊지 않아 겉흙을 긁는 것만으로도 김매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자루가 길고 날이 무거운 것은 돌이 많고 흙이 거친 밭에서 쓰기 위함이다.

옛날에는 호미가 자루가 긴 호미()와 짧은 호미()가 있었는데 짧은 호미라 하더라도 『해동 농서』의 어느 지방에서 부르는 명칭‘호매(鋤)’나鋤 『기산 풍속화』의 호미를 보면 지금의 호미보다는 훨씬 긴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예전의 긴 자루 호미는 서서 김을 매는 호미로서 뒤에 ‘가지 잎 괭이’나 ‘수수잎 괭이’와 같이 ‘괭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또 다른 농사일 에쓰는 이름 괭이 도있다.

호미를 예전에는 ‘호매’(『훈몽자회』 · 『재물보』 · 『해동 농서』) · ‘호미’(『역 어류 해』 · 『사 류 박해』) · ‘흐미’(『물보』)로 부르다가 19세기에 들어서 ‘호미’(『농정 촬요』)라고 했다.

한문으로는 (『농사직설』 · 『금양 잡록』 · 『한정록』 · 『산림경제』 · 『고사 신서』 · 『과농소초』) · 鉏(『사시찬 요초』 · 『색경』 · 『산림경제』) · 鏟子(『역 어류 해』 · 『방언 류석』), (『재물보』 · 『임원경제지』 · 『물보』 · 『사 류 박해』) · (『훈몽자회』) · (『과농소초』 · 『재물보』 · 『임원경제지』)로 적었다.

긴자로 호미는 (『색경』 · 『재물보』) · (『훈몽자회』 · 『역 어류 해』 · 『사 류 박해』)라 하고 짧은 자루 호미는 (『색경』 · 『북학의』)라고 했다.

쇠날의 앞은 뾰족하고 위는 넓적한데, 이 한 끝에서 목이 휘어 꼬부라져서 넘어간 부분에 둥근 나무토막을 박아 자루로 삼는 농기구이다.

호미의 모양은 그것이 사용되는 지역의 자연적인 조건과 농업경영의 특질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데, 우리나라 호미의 형태는 크게 보습형, 낫형, 세모형 등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보습형은 쟁기의 보습처럼 날 끝이 뾰족하고 위는 넓적한 것으로 날 끝을 흙에 박아 젖히면 흙이 쉽게 뒤집어져서 논을 매는 데에 적당하여 논 호미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루에 흙이 묻으면 매우 미끄러우므로, 나무자루 대신 짚을 감거나 나무자루에 베 헝겊을 둘러서 쓰는 일도 있다. 

보습형 호미는 경기도? 충청도를 비롯한 중부지방과 전라북도의 일부 지역에서 많이 사용한다.

낫형은 날이 낫처럼 너비에 비하여 길이가 길며 그 끝이 날카로워 자갈 등의 저항 물이 많은 데에서 쓰기에 편리하여 밭 호미라고도 부르고 주로 경상남도? 제주도? 전라남도 도서지방 및 산간지대에서 많이 사용한다. 

세모형은 장삼 각형으로서 양변에 비하여 바닥의 길이가 긴 호미로 우리나라 호미 중에서 날은 물론 자루도 제일 길다.

이러한 장점으로 보리? 옥수수? 밀과 같이 이랑이 넓은 밭의 풀을 매는 데에 편리하지만, 흙을 떠 엎는 힘이 약하여 논에는 적당하지 않다. 이 호미는 자루가 길어 서서 작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세모형 호미는 우리나라의 북부지방에서 많이 쓰인다.

보습형 호미(무게 400g 내외)로는 남자 한 사람이 하루에 300여 평의 논을 맬 수 있으며, 날은 해마다 벼려서 쓴다.

논농사에 있어 논을 매는 일은 가장 힘들고 어려운 일이므로 이는 보통 두레 조직을 이용하거나 품앗이로 한다.

세 번째 논매기가 끝난 뒤에는 ‘호미씻이’ 혹은 ‘풋구 먹는다’, 

‘초염 먹는다’고 하여 농사일의 한 고비가 지난 것을 자축하기 위하여 음식을 장만하여 농악을 울리며 하루를 쉰다.

지금의 호미는 지방에 따라 ‘호맹이’ · ‘호메이’ · ‘호무’ · ‘호미’ · ‘호마니’ · ‘허매’ · ‘허미’ · ‘희미’ 등으로 불리고 있으며, 호미의 모양에 따라 경지기 · 막 지기 · 곧 지기 · 귀호미 · 날호미 · 평호미 · 동자 호미 · 부패 호미 · 볏쇠호미 · 수수잎 호미 · 깻잎 호미 · 용강 호미 · 벼루 개 · 각 쟁이 · 골갱이 · 벽채 따위가 있다. 호미로 하루 300여 평의 논을 맬 수 있다.

"함경도 지역의 호미" 사각형 식도 있다.

경상북도는 지난해 12월 그를 ‘최고장인’으로 선정했다.

** 도구 이름이 지나다 보면 바뀌는 것이 아닌지???

 

농기구의 종류"

곡괭이, 쇠스랑쟁기홉바,호미홉바, 호미, 삽괭이...

유사 관련 용어" 호맹이, 호메이, 호무, 홈미, 호마니, 허매, 허미, 희미..

 

 

한국의 문화유산을 수집·보관하여 일반인에게 전시하고, 유적·유물 등을 조사·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참고 문헌"

『해동 농서』

한국의 농업유물(농협중앙회 농협박물관, 1997년)

한국 민속 대사전-호미-(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 1991년)

농기구(1990년)

한국 농기 구고(韓國農器具攷, 1986년)

호미 (한국의 농기구, 2001.)

호미 (e뮤지엄) http://www.emuseum.go.kr/

전국 박물관 소장품 통합검색

박물관 소장품 통합검색, 오늘의 인기 소장품, 이뮤지엄 스토리, 나도 큐레이터 제공.

www.emuseum.go.kr 

 

** 또 다른 볼거리,

https://happyday6200.blogspot.com            

https://happyday2162.blogspot.com                                     

https://happyday2100.tistory.com/123             

https://goodlucks6200.tistory.com            

http://blog.daum.net/bumin2110/187 

http://blog.naver.com/happyday2162/221511275079

https://www.youtube.com/channel/UCfgPqvH1s_8mwfICMcBq2Zw

https://support.google.com/youtube/thread/1721344?msgid=4797194

https://www.youtube.com/channel/UCrFjsn71IQ2H96NLh4-xusg/live

https://youtu.be/HRlLFVcDdBs?t=16

www.youtube.com/channel/UCrFjsn71IQ2H96NLh4-xusg

https://youtu.be/0ezy25PUkTU

sHJs6yThSUehE1-F9wSC3w

rtmp://a.rtmp.youtube.com/live2rtmp://a.rtmp.youtube.com/live2

https://youtu.be/gR9Q6KlBpA4

https://youtu.be/xpqCHcEUvaU

goodday >유튜브 

https://www.facebook.com/hyunbong

@nt8XwBMKaPK0Hr1 = 트윗트

아름다운 행복한세상

'기업, 개인, (개발품)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덕흠 일가 건설사,  (0) 2020.09.22
이웃블르그  (0) 2020.06.15
조선 3사 대박!!!  (0) 2020.06.04
'차세대 전투기' 사업??,  (0) 2020.02.18
전통 한지. Korean paper, 韓紙.  (0) 2017.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