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
두릅나무과의 (Panax ginseng C. A. Meyer)의 뿌리로서 가는 뿌리와 코르크 층을 제거한 것을 말한다.
옛날에는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잘 알려진 인삼은 기력을 증진시켜주는 대표적인 건강식품입니다.
그러나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피해야 한답니다. <script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script>
<ins class="adsbygoogle"
style="display:block; text-align:center;"
data-ad-layout="in-article"
data-ad-format="fluid"
data-ad-client="ca-pub-4162949345545299"
data-ad-slot="8283195497"></ins>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script>
우리나라에서는 백삼(白蔘:생 것), 홍삼(紅蔘:찐 것), 미삼(尾蔘:가는 뿌리)으로 구분하여 기록했으나 민간에서는 야생삼도 장뇌와 산삼으로 구별한다.
인삼의 잎을 인삼엽(人蔘葉), 노두(蘆頭)를 인삼로(人蔘蘆), 종자를 인삼자(人蔘子)라고 하여 약으로 쓰기도 한다.
인삼은 두릅나무과(Panaxginseng C.A Mey ) 인삼속 식물의 뿌리이다.
재배 방식에 따라 밭에서 재배할 경우 ‘인삼’, 산에서 재배할 경우 ‘산양삼’, 산에서 자연적으로 서식하는 것을 채취할 경우 ‘산삼’이라고 부른다.
재배산지에 따라 고려인삼(한반도), 미국삼(미국 및 캐나다), 전칠삼(중국), 죽절삼(일본) 등으로 부른다.
예부터 대표적 교역 상품으로 쓰였던 우리나라의 인삼은 중국, 일본, 미국 등의 인삼보다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는 인삼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말하며 원삼(재배삼), 홍삼, 산삼(야생삼)으로 구별한다.
인삼은 뿌리 모양이 사람과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며 귀신 같은 효험이 있다고 하여 신초(神草)로 불리기도 하고 높은 계급에 해당되어 사람이 받든다는 의미로 인함(人銜)이라고도 하며 해를 등지고 음지를 향해 있으므로 귀개(鬼蓋)라고도 한다.
어떤 이가 집 뒤에서 매일 밤 사람이 부르는 소리가 들려 이곳을 파보니 사람 모양의 약초가 있었으며 이를 캐고 나니 더 이상 부르는 소리가 나지 않았다고 하여 토정(土精)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준다.
인삼은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은 달면서 약간 씁쓸하다.
주로 비(脾), 폐(肺), 심(心)에 작용한다.
약리작용은 대뇌피질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심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 단백질합성촉진, 항상성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따듯하다.
[甘苦微溫]/ 또한 파낙스산(panax acid)은 팔미틴산(palmitin acid), 스테아린산(Stearin-Acid), 올레인산(Olein acid), 리놀산(linol acid) 등의 혼합물인데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지질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생성된 것이다.
베타시토스테롤(B-sito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등과 다우코스테롤 (daucosterol)도 분리되었으며, 콜린(cholin)이 0.1~0.2%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은 인삼의 강압성분(降壓成分)이다.
아미노산(amino acid)와 펩티드(peptide)류,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등과 포도당, 과당, 맥아당, 자당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인삼의 주요 성분으로 13종 이상의 사포닌(saponin) 혼합물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가 약 5.22% 함유되어 있다.
그 중에서 진세노사이드 Rb1, Rc 및 Rg1의 함유량이 비교적 높다.
사포닌이 함유된 게닌(genin)은 프로토파낙시디올(protopanaxadiol),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3종이 있다.
또한 정유(精油)가 약 0.005% 함유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인삼에서 나는 독특한 향기의 근원이 되는 베타엘레먼(B-elemen)과 쉽게 수지로 변하는 파낙시놀(panaxynol)이 함유되어 있다.
전해오는 이야기로 두 형제가 산속으로 사냥을 갔는데 눈이 많이 와서 동굴로 피해 오랜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그들은 우연히 동굴 주변에 사람 모양과 비슷한 뿌리가 많은 것을 발견하고 이를 캐내어 먹어보았더니 단맛이 났으며 이를 먹으니 피곤하지 않고 기운이 생겨 거뜬히 겨울을 나게 되었다.
눈이 녹아 마을로 내려가서 마을사람들에게 이 약초의 생김새를 전했는데 사람의 몸과 비슷하다 하여 인삼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모양은 가늘고 긴 원주형이나 방추형으로 2~5개의 곁뿌리가 나 있고 바깥 면은 엷은 황갈색이며 세로주름과 가는 뿌리 자국이 있다.
근두부에는 줄기의 잔기가 붙어 있던 뇌두가 있다.
학명은 ginseng C. A. Meyer이다. 깊은 산악지대에서 자라는 식물로 흔히 재배하고 있다.
높이는 60㎝에 달하고, 근경(根莖: 뿌리와 줄기)은 짧으며 곧거나 비스듬히 서고, 밑에서 도라지같은 뿌리가 발달한다.
근경 끝에서 1개의 원줄기가 나오고 끝에서 3, 4개의 잎이 윤생(輪生:돌려나기)하며 긴 엽병 끝에 5개의 장상복엽(掌狀複葉: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 달린다.
소엽은 난형(卵形: 계란형) 또는 도란형(倒卵形: 계란을 거꾸로 세운 형태)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고, 표면 맥 위에 잔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꽃은 연한 녹색으로 4월에 피며, 열매는 둥글고 적색으로 익는다.
뿌리는 옛날부터 강장제 또는 만병통치약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최근의 과학적 연구에 의해서도 약효가 인정되어가고 있다.
산삼(山蔘)이라고 불리는 자연삼의 산출은 현재 아주 희소하기 때문에 인삼산지로서 가장 적합한 천연적 조건을 갖추고 재배 및 가공법의 기술을 개발, 계승하여온 우리 나라가 인삼의 주 산국으로 되어왔다고 할 수 있다.
고구려시대의 영토는 한때 요동(遼東) 및 남부 만주와 연해주에까지 뻗어 있었으므로, 고려인삼은 지구상에서 고구려 판도 안에서만 생산되었다고 할 수 있어, 오늘날 우리 나라 인삼을 고려인삼이라고 부르는 것은 타당하다.
구미(歐美)에서 시베리아인삼(Siberian ginseng)이라고 하여 판매되고 있는 제품은 두릅나무과이지만 속(屬)이 인삼속(Panax)이 아닌 오갈피나무의 일종인 Eleutherococcussenticosus MAXIM이라는 목본식물(木本植物)의 뿌리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인삼이 산출되었고, 또 재배할 수 있다.
미주인삼은 광동인삼·화기삼·아메리카인삼·서양인삼·양삼(洋參)·포삼(泡參) 등으로 불리며, 원식물 Panax quinquefolium LINNE이고 일본의 죽절인삼(竹節人參) 은panax japonicum C. A. MEYER이며, 중국의 삼칠인삼(三七人參)은 Panax notoginseng(BURK) F. H. CHEN이어서 같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나 우리 나라의 인삼과는 원식물이 다르다.
양(梁)나라 때 도홍경(陶弘景)이 저술한 의학서적인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및 『명의별록(名醫別錄)』에 백제·고려·상당(上黨)의 인삼에 관한 기록이 있다.
여기서 고려는 고구려이며, 고려인삼보다도 중국의 상당삼(上黨參)이 더 좋다고 하였다.
상당삼은 오늘날의 고증에 의하면 초롱꽃과에 속하는 만삼(蔓參)이며 인삼이 아니라고 한다.
우리나라 문헌으로는 『삼국사기』 또는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에 올라 있는 인삼기록이 가장 오래 된 것이다.
『삼국사기』 신라 성덕왕·소성왕·경문왕조에 보면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할 때 공헌(貢獻)한 기록이 나오는데, 특히 799년(소성왕 1) 7월에는 “길이가 9척이나 되는 인삼을 발견하여 하도 신기하여서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진상을 하였더니 덕종이 보고 인삼이 아니라며 받지 않았다”라는 기록이 있어 매우 흥미롭다.
신라에서 당나라에 조공한 인삼에 관해서는 당나라 숙종 때에 이순(李珣)이 저술한 『해약본초(海藥本草)』 가운데 인삼을 붉은 실로 묶어 포장하였다는 대목이 있어, 그때에도 외국에 보내는 인삼의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한 가공기술이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정확한 간행연대는 분명하지 않지만, 고려 고종 때에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초판을 간행한 『향약구급방』은 우리 나라에서 간행된 가장 오래된 의학서적으로 현존하고 있다.
초간본은 전하지 않고 1417년(태종 17)에 중간된 것이 그나마도 일본 궁내성 도서료(宮內省圖書寮)에 1부가 소장되어 있을 뿐인데, 그 중 「방중향약목(方中鄕藥目)」에 인삼이 170여 종의 향약(우리 나라에서 나는 약재를 중국 약재에 대하여 이르는 말)의 하나로 올라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내용 중 인삼의 삼자가 ‘參’이 아니고 ‘蔘’으로 되어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인삼을 ‘人參’으로 쓴다.
우리는 조선왕조의 문헌에서 ‘參’자 대신 ‘蔘’자를 썼으며, 『조선왕조실록』 등에서 ‘입참(入參)’·‘참알(參謁)’·‘참치(參差)’ 등의 용어에서 ‘參’자를 사용하고 있어 인삼과 혼동될 우려가 있어, 아예 ‘人蔘’으로 표기하든가 ‘參’자의 속자(俗字)인 ‘叅’을 사용하였다.
중국에서도 인삼을 ‘人蔘’으로 표시한 전례가 없는 것은 아니며, 위(魏)나라의 장읍(張揖)이 쓴 『광아(廣雅)』에 ‘葠地精人蔘也’라는 문구가 나온다.
『양서(梁書)』 본기(本紀)에도 무제시대(武帝時代)에 고구려 및 백제가 자주 인삼을 조공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수(隋)의 『한원(翰苑)』 중의 「고려기(高麗記)」에 마다산(馬多山:蓋馬大山인 것으로 추측된다)에 인삼이 많이 산출된다는 기록이 있고, 진(陳)의 사문(沙門) 관정(灌頂)이 편찬한 『국정백록(國定百錄)』에도 고려에서 미역[昆布]과 인삼을 보내왔다는 기록이 올라 있다.
1123년(인종 1)에 중국의 송나라 사람 서긍(徐兢)이 고려를 다녀가서 저술한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가운데도 고려인삼에 관한 기록이 나오는데, 주목할만한 사실은 당시에 이미 홍삼(紅蔘)이 있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즉, 백삼(白蔘)이 좋기는 좋은데 여름을 지내면 좀이 먹기 때문에 솥에 쪄야 보존성이 있다는 것이다.
개성삼(開城蔘)은 대략 백삼·홍삼의 두 가지로 나뉘는데, 백삼은 흙에서 캔 삼을 그대로 말린 것이며, 홍삼은 그것을 가마에 넣고 쪄서 붉은 빛이 나게 한 것이다.
인삼으로 불리는 다른 나라의 약초와 구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인삼을 고려인삼이라 하고 ‘蔘’으로 쓰며 외국삼은 ‘參’으로 쓴다.
따라서, 화기삼(花旗參)·동양삼(東洋參)·관동삼(關東參) 등은 외국삼을 일컫는 말이다.
수천년 동안 신약영초(新藥靈草)로 계승되어 내려온 우리 나라 인삼을 고려인삼, 일본에서는 ‘조선인삼’, 서양에서는 ‘Korean ginseng’이라 부르는데, 모두 ‘고려’·‘조선’·‘Korea’ 등을 인삼에 붙이고 있다.
북위 30°∼48°에 이르는 지역에 자생하며, 자생지로는 우리나라(33.7°∼43.21°), 중국의 만주(43°∼47°), 소련의 연해주(沿海州, 40°∼48°) 등 3개 지역이라고 되어 있다.
고려인삼은 유사 이전부터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문헌에는 불과 1,500여년 전에야 나타나며 그나마도 중국문헌에 실려 있을 뿐이다.
인삼은 뿌리로 심고 4~6년 후 가을에 줄기와 잎이 마를 때 캔다.
가공하는 방법에 따라 채취한 그대로인 수삼(水蔘), 채취 후 건조한 백삼(白蔘), 수삼을 쪄서 말린 것을 홍삼(紅蔘)이라고 부른다.
통상적으로 2~10g으로 복용하며 대량으로 복용할 때에는 10~30g까지 먹을 수 있다. 다른 이름으로 귀개 ( 유령 커버 ), 금 정옥란 ( 킴 웰스 유 란 ), 신초 ( 하나님의 잔디 ), 옥정 (유 징 ), 인미 ( 인간 마이크로 (), 인삼 참여 ), 인함 ( 사람 이름 ), 인삼 ( 사람들 쉔 ), 지정 ( 미세 ), 토정 ( 토양 정밀 ), 해아 삼 ( 아이 아이 참여 ), 혈삼 ( 혈액 인삼 ), 혈삼 ( 혈액 매개 변수), 황삼 ( 노란색 인삼 ), 야 산삼 ( 야생 산 인삼 ) 별 직 삼 ( 곧은 인삼 은 아님 ) 이다.
원기를 돕는 대보원기(大補元氣), 탈진된 몸을 회복시켜 진액을 생성시키는 고탈생진(固脫生津), 마음을 안정시키는 안신(安神) 효능이 있어서 과로로 기혈이 소모된 노상허손(勞傷虛損), 식소(食少), 권태(倦怠), 위장에서 음식을 받아들이지 않는 반위토식(反胃吐食), 설사가 지속되는 대변활설(大便滑泄), 몸이 허해서 기침을 하고 숨이 가쁜 허해천촉(虛咳喘促), 땀이 나서 정기가 심하게 손상된 자한폭탈(自汗暴脫), 놀라서 심장이 두근거리는 경계(驚悸), 건망(健忘), 어지럽고 두통이 있는 현훈두통(眩暈頭痛), 발기가 잘 되지 않는 양위(陽痿), 빈뇨(頻尿), 당뇨와 비슷하게 목이 마르는 소갈(消渴), 여성의 경우 질에서 비정상적으로 피가 나오는 부녀붕루(婦女崩漏), 몸이 약한 아이가 경련을 일으키는 소아만경(小兒慢驚), 허한 몸이 오래되어 회복이 안 되는 구허불복(久虛不復), 모든 기혈진액이 부족한 일절기혈 진액부족(一切氣血津液不足) 등을 치료한다. <script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script>
<ins class="adsbygoogle"
style="display:block; text-align:center;"
data-ad-layout="in-article"
data-ad-format="fluid"
data-ad-client="ca-pub-4162949345545299"
data-ad-slot="8283195497"></ins>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script>
1) 열이 있다가 없어지면서 뼛속에 열이 나는 것 같은 증상인 조열골증(潮熱骨蒸), 폐에 열사가 침범한 폐열해수(肺熱咳嗽), 담이 정체되서 숨이 찬 담옹기급(痰壅氣急), 신의 음기가 부족해서 간의 양기가 밖으로 나오는 간양상항(肝陽上亢), 열사가 몸에 숨어 있다가 열이 나는 화울실열(火鬰實熱) 등이 있을 경우에는 복용을 피한다.
2) 간양 상승(肝陽上昇)으로 인한 어지럽고 눈이 빨간 증상인 두훈목적(頭暈目赤)에는 신중히 사용하여야 한다.
① 소량의 인삼은 혈관을 수축하여 혈압을 상승시킨다.
② 기(氣)가 성한 경우에는 불면증을 더욱 심하게 하여 수면방해가 된다.
③ 고혈압 환자가 다량 복용할 경우 뇌출혈에 유의해야 한다. 180mmHg 이상의 고혈압 환자는 복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3) 장기간 복용에 유의,
① 두통, 불면, 동계(動悸, 가슴이 두근거림), 혈압이 오를 수 있으므로 주의하고 이런 경우에 복용을 중지하면 정상 회복된다.
② 복용하여 열성이 심해질 경우가 있으므로 여름보다는 겨울에 상용하도록 한다.
4) 외부의 사기가 침입하는 외감(外感)과 음식을 잘못 먹어 과로하고 신경이 쇠약해지는 내상(內傷) 특히 습조열성(濕阻熱盛)의 경우에 신중히 사용한다.
5) 일반적으로 인삼을 먹을 때는 무(蘿葍)와 찻잎(茶葉)을 먹으면 기가 손상될 수 있어서 기피하며 여노(藜蘆, 한약재)와는 상반한다. ·
백삼 또는 건삼
수삼을 원료로 건조 시킨 것으로 수분함량이 15% 이하이며,
태양열에 의한 자연건조 또는 열풍 등의 방법으로 말린 것을 말합니다.
껍질의 유무에 따라서 껍질을 벗겨낸 백삼, 껍질이 있는 피부백삼으로 나뉘구요
형태에따라서 뿌리를 곧게 가공한 직삼, 뿌리를 구부려서 말린 곡삼, 그 중간정도인 반곡삼으로
구분 됩니다!
c.홍삼
주료 4~6년근 수삼을 95도의 수증기로 24시간을 쪄서 말린 것이 바로 홍삼!입니다.
색은 담적황갈색을 띠며, 수분함량이 14% 이하이기 때문에 매우 단단한 형태로
가공되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홍삼은 외부 및 내부의 상태에 따라 천삼,지삼,양삼으로 등급이 나뉜다고 합니다!
a.산삼
깊은 산속에서 자생한 인삼
b.재배삼
인삼밭에서 인공적으로 재배한 인삼
c.장뇌삼
인삼 씨앗을 산간에 뿌려 산삼처럼 자연 그대로 재배한 인삼이 있겠습니다!
생각보다 다양한 인삼의 종류가 있지요?
인삼은 면역력 강화에 좋고, 피로회복, 숙취해서 등등
좋은 효능은 가지고 있으니깐요!
다양한 타입별로 보관하고 요리해보시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우선 인삼은 위 그림과 같이 생겼습니다.
밭에서 보는 인삼은 꽃,열매을 맺으며
잎, 줄기, 뇌두, 근, 미로 나뉩니다.
구입요령 : 주름이 없는 탱탱한 외피와 묵직하다 싶을 정도의 무게가 있는 것이 좋다.
유사재료 : 홍삼 (인삼은 밭에서 캐낸 것이고, 홍삼은 수삼을 증기로 쪄서 가공한 것이다.)
보관온도 : 1~5℃/
보관일 : 5일/
보관법 : 요리를 하고 남은 인삼은 비닐이나 랩으로 싸서 냉장실에 보관하거나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손질법 : 깨끗하게 씻어서 이용한다.
산지특성 및 기타정보 : 우리나라 인삼을 최고 상품으로 꼽는다.
섭취방법 : 인삼정, 인삼분말, 인삼차, 드링크제, 인삼주 등의 제품으로 가공되어 섭취된다.
궁합음식정보 : 대추- (대추에는 당류가 약 25% 들어 있어 인삼에 부족한 칼로리를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한다.)
다이어트 : 인삼에 들어 있는 사포닌 성분은 지방을 녹여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효능 : 노화 방지 (사포닌 함유가 많아서 심장질환 예방과 장 안에 있는 콜레스테롤과 결합하여 체외 방출을 한다.)
우리나라 문헌으로는 『삼국사기』 또는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에 올라 있는 인삼기록이 가장 오래 된 것이다.
『삼국사기』 신라 성덕왕·소성왕·경문왕조에 보면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할 때 공헌(貢獻)한 기록이 나오는데, 특히 799년(소성왕 1) 7월에는 “길이가 9척이나 되는 인삼을 발견하여 하도 신기하여서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진상을 하였더니 덕종이 보고 인삼이 아니라며 받지 않았다.”라는 기록이 있어 매우 흥미롭다.
신라에서 당나라에 조공한 인삼에 관해서는 당나라 숙종 때에 이순(李珣)이 저술한 『해약본초(海藥本草)』 가운데 인삼을 붉은 실로 묶어 포장하였다는 대목이 있어, 그때에도 외국에 보내는 인삼의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한 가공기술이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중국에서도 인삼을 ‘人蔘’으로 표시한 전례가 없는 것은 아니며, 위(魏)나라의 장읍(張揖)이 쓴 『광아(廣雅)』에 ‘葠地精人蔘也’라는 문구가 나온다.
중국에서는 인삼을 '귀개 ( 고스트 커버 )'· '인함 ( 남자 제목 )'· '신초 ( 하나님의 잔디 )'· '토정 (토양 미세 )'· '옥정 ( 유 징 )'· '혈삼 ( 혈액 매개 변수 ) '·'인미 ( 인간 마이크로 ) '·'황삼 ( 노란색인삼 ) '·'추면 환단 ( 젊은 얼굴 도 단 ) '·'인신 ( 인간 의 몸 ) '·'활인 초 ( 살아있는 사람 잔디 ) '·'지정 ( 고급 ) '·'해유 ( 바다 맛있는 ) '많은 다른 이름 등으로 부르고 있다.
인삼속(人蔘屬)을 나타내는 Panax의 어원은 Pan(모든, 汎)+acos(醫藥, axos)이며, 따라서 만병통치약이라는 뜻이다.
또한 schinseng은 신삼(神蔘)의 중국음에서 유래한다. ‘schinseng’ 대신에 ‘ginseng’도 사용되는데, 이것은 인삼의 중국음이다.
인삼은 옛날 중국에서 ‘人蓡’ 또는 ‘人葠’ 등으로도 표시되었다.
일본은 원래 자생인삼(自生人蔘)이 전혀 없었으며, 백제의 의박사(醫博士)인 나솔왕유릉타(奈率王有陀), 채약사(採藥師)인 시덕번량풍(施德潘量豊)·고덕정유타(固德丁有陀)가 일본왕의 초빙으로 554년에 일본에 건너갔을 때 우리의 인삼도 소개되지 않았나 추측되지만 단정할 수는 없다.
742년 발해의 문왕이 일본에 사신을 보내어 인삼 30근을 선물하였다는 기록이 일본에서의 인삼 도입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다.
일본도 점차 인삼의 중요성을 인정하여 국내생산을 원하여 1727∼1728년경에 우리 나라에서 생근(生根)과 종자를 얻어 재배를 시험한 것이 일본에서의 인삼 재배의 시초라고 한다.
인삼의 식물학적 특성의 하나는 재배지에 대한 선택성이 강하여 기후나 토질 등의 자연환경이 적당하지 않은 곳에서는 적응시켜서 생육시키는 것이 아주 곤란하다는 점이다.
설령 생육된다 하더라도 생산된 인삼의 형태·품질·약효에 현저한 차이가 있다.
현재 일본이나 미국 등지에서도 인삼이 재배되나 우리의 인삼을 따를 수 없어, 이런 점에서도 우리나라가 인삼 생산의 최적지라고 인정되어 인삼 종주국으로서의 전통을 지키고 있다.
정확한 간행연대는 분명하지 않지만, 고려 고종 때에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초판을 간행한 『향약구급방』은 우리 나라에서 간행된 가장 오래된 의학서적으로 현존하고 있다.
초간본은 전하지 않고 1417년(태종 17)에 중간된 것이 그나마도 일본 궁내성 도서료(宮內省圖書寮)에 1부가 소장되어 있을 뿐인데, 그 중 「방중향약목(方中鄕藥目)」에 인삼이 170여 종의 향약(우리 나라에서 나는 약재를 중국 약재에 대하여 이르는 말)의 하나로 올라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내용 중 인삼의 삼자가 ‘參’이 아니고 ‘蔘’으로 되어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본초학서(本草學書)인 『신농본초경』에서는 365종의 약물을 상중하의 3품으로 분류하여, 상품 약 120종, 중품 약 120종, 하품 약 125종으로 구별하였다.
인삼은 상품약에 들어 있으며, 인삼의 약효에 대해서 “오장을 보호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눈을 밝게 하고,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오래 살 수 있다.”는 등의 표현을 하고 있어,
오늘날의 과학으로 밝혀진 인삼의 효능과 잘 부합된다.
후한(後漢) 헌제(獻帝) 건안 연간(建安年間)의 저작이라고 인정되는 장중경(張仲景)의 『상한론(傷寒論)』에 처음으로 인삼의 구체적인 처방이 21방(총 113방)이 나오고 있으니, 이것이 최초의 인삼 의약기록이다.
우리 나라에서 오늘날도 흔히 사용되고 있는 한방처방서인 『방약합편』에 올라 있는 467방의 처방은 상중하의 3통분류(三統分類)로 나누어져 있다.
중국은 남획으로 야생인삼이 거의 전멸 지경에 이르렀으나 우리 나라 공물의 덕택으로 수요를 충족시켜 왔는데, 이와 같은 수량을 공급하여야 할 우리 나라는 무슨 수단을 써서라도 인삼을 확보하여야 할 필요성에 쫓기어 백성들에게 이른바 삼폐(蔘弊)를 주게 되었다.
삼폐를 견디지 못한 백성들이 어쩔 수 없이 인삼의 재배기술을 개발하게 된 것이, 오히려 현재에 이르러서는 전화위복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상통처방은 ‘보제(補劑)’, 중통처방은 ‘화제(和劑)’, 하통처방은 ‘공제(功劑)’이며, 인삼이 배합되어 있는 132종 처방의 약 94%가 상통과 중통에 들어 있음으로 보아, 인삼은 보약 또는 강장제로 사용되는 것이지 특정 질병에 대한 치료약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인삼을 ‘人參’으로 쓴다. 우리는 조선왕조의 문헌에서 ‘參’자 대신 ‘蔘’자를 썼으며, 『조선왕조실록』 등에서 ‘입참(入參)’·‘참알(參謁)’·‘참치(參差)’ 등의 용어에서 ‘參’자를 사용하고 있어 인삼과 혼동될 우려가 있어, 아예 ‘人蔘’으로 표기하든가 ‘參’자의 속자(俗字)인 ‘叅’을 사용하였다.
인삼의 우리나라 고유의 고명(古名)은 ‘심’이지만, 어원 및 시작된 연대는 알 수 없다.
한방에서 인정되는 인삼의 약효를 요약하면, 강장·강심·건위보정(健胃補精)·진정약으로 널리 상용되고, 위장기능 쇠약에 의한 신진대사기능의 저하에 진흥약(振興藥)으로 사용되며, 병약자의 위부정체감(胃部停滯感)·소화불량·구토·흉통(胸痛)·이완성하리(弛緩性下痢)·식욕부진 등에도 응용된다.
우리 민족의 뛰어난 인삼재배기술은 우리 국토의 천혜적인 입지조건과 결부되어 드디어 인삼으로 세계에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인삼의 재배에 필요한 자연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기온:평균기온은 연간 9°∼13.8°C이고, 여름에는 20°∼25°C이며, 35°C가 넘으면 생리적 장애가 생긴다.
② 강우량:연간 700∼2,000㎜이나 적당량은 1,100∼1,300㎜이며, 강설량은 비교적 적은 곳이 좋다.
③ 일조량:인삼은 반양반음(半陽半陰)을 좋아하는 음지성 식물로서 직사광선은 좋지 않으며, 산란광(散亂光)으로서 옥외광선의 8분의 1 내지 13분의 1 정도가 알맞다.
④ 토양:유효태(有效態) 칼륨분이 풍부한 곳이 좋으며, 표토(表土)는 사양토(砂壤土), 심토(深土)는 점토가 좋다. 적당한 pH는 5.5∼6.0이고 오염되지 않은 숙전(熟田)이 좋다.
⑤ 지세:북쪽 또는 동북쪽으로 8°∼15°정도 경사진 곳이 좋으며, 평탄지라도 배수가 잘 되면 무방하다.
⑥ 거름:야생인삼의 자연환경과 유사하게 활엽수의 부식질이 많은 곳이 좋으며, 인공적으로라도 그렇게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화학비료 또는 속효성의 농후한 비료를 많이 시용(施用)하여 자연적인 조건과 다르게 되면 인삼재배지로 부적당하다.
우리 나라의 현재의 인삼재배 분포는 남한에 있어서는 주로 경기도와 충청남도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경상남도·전라남도 및 제주도를 제외한 각 도에 분포되어 있다.
각 도별 산지는 경기도 강화·김포·포천·이천·연천·파주·고양·여주·부천·용인·광주·화성, 충청남도의 금산·부여·논산·청양·홍성·대덕·공주·서산, 충청북도의 괴산·청원·음성·진천·보은·중원·제천·단양, 전라북도의 진안·완주·무주 등지이다.
약 2,000년 전부터 우리나라가 인삼의 주산국으로 알려짐으로써 인접 국가들과 정치적 및 경제적으로 인삼을 둘러싼 관계가 성립되어 왔으며, 따라서 고려인삼을 매체로 하여 정치적 및 경제적 국제관계가 촉진되어 왔다.
국내에 있어서는 인삼의 공과부담(貢課負擔), 채굴 및 제조 또는 수출교역 등의 통제에 수반되는 각종 부정으로 말미암아 인삼 때문에 생긴 삼폐와 악정(惡政)의 역사가 많았다.
국제관계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우리나라가 산삼향(産蔘鄕)으로 알려져 중국대륙의 여러 나라 또는 일본에 공헌품 및 예단물(禮單物)로 큰 구실을 해왔고, 근세에 와서는 만주와의 국경지대에서 상호 월범채삼(越犯採蔘)으로 외교적인 분쟁이 야기된 사실(史實)이 많다.
우리나라는 자연적 천혜조건으로 어디에서나 인삼재배가 가능하나, 정부에서 특히 홍삼원료포에 대해서는 특별경작구역을 지정하여 지정경작구역 내에 한하여 계획생산을 하고 있으므로, 자연입지에 대한 분포가 제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삼재배 분포는 야생천연삼(재배인삼이 생산되기 시작한 뒤부터는 산삼이라고 한다)의 분포와는 달리 정책적·경제적인 요구에 따라 조정되고 있다.
1998년 6월 말 통계에 의하면 인삼경작 실적이 홍삼포는 2,902㏊, 백삼포는 7,447㏊로 모두 1만 349㏊에 이른다.
이와 같은 약효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비교적 늦어 1950년대에 이르러서야 급속하게 발전되기 시작하였다.
성분·약리작용 및 임상적인 연구에 있어서 획기적인 결과가 많이 나와서 수천 년 동안의 신비가 과학적으로 해명되기 시작하는 동시에, 인삼이 결코 동양인의 신앙에 의해서만 계승되어 온 것이 아님이 입증되어 가고 있다.
인삼의 과학적인 연구에 있어 우리 나라의 약학자 또는 의학자의 공헌이 크다는 것이 국제적으로도 인정되고 있어 인삼종주국으로서의 권위를 과시하고 있다.
인삼약효의 주성분이라고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사포닌 배당체(配糖體) 물질은 항피로작용(抗疲勞作用)·작업능력증진작용·성선(性腺: 생식샘)의 발육촉진작용·혈당치 강하작용 등을 함이 증명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만한 사실은 인삼의 기본적 약리작용을 ‘적응소효과(adaptogen효과)’로 대표시키려는 학설이 유력하다는 사실이다.
‘생체가 가지고 있는 비특이적(非特異的)인 저항력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병적인 상태를 정상화시켜 주는 작용’이 그 개념이며, 인삼의 만병통치약으로서의 효과를 잘 설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부신피질호르몬의 하나인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의 분비를 촉진시키며, 각종 스트레스에 대한 부신피질 기능의 강화에 유효한 것이 그와 같은 정상화작용의 뒷받침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대뇌피질을 자극하여 콜린작동성(choline 作動性)을 증강하여 혈압강하, 호흡촉진, 실험적 과혈당(過血糖)의 억제, 인슐린작용 증강, 적혈구 수 및 헤모글로빈의 증가, 소화관운동 항진 등의 작용이 있음이 알려지고 있다. 그 밖에 생체단백질 및DNA(deoxy ribonucleic acid)합성촉진작용·항암작용 등이 있음이 연구되기 시작함으로써 장생불로약으로서의 인삼의 신비가 점차 과학화되는 추세에 있다.
『동의보감』이나 『제중신편(濟衆新編)』·『방약합편(方藥合編)』에 인삼의 향명(鄕名)이 ‘심’이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보면, 근세까지도 ‘심’을 사용하여 왔음을 알 수 있으나, 현재는 겨우 산삼채취인의 은어인 심마니에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함경남도지방의 산삼채취인들은 인삼을 ‘방추’ 또는 ‘방초’라고 하는데 어원은 방초(芳草)일 것이라고 한다.
인삼은 예로부터 국가경제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홍삼의 판매제도는 국가 전매로 되어 있다.
최근 인삼의 과학화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어 인삼의 탁월한 약효가 과학적으로 인정됨에 따라 인삼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이런 때에 있어서 고려인삼의 종주국으로서의 전통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우리 학자에 의한 연구는 물론이고, 생산 및 교역을 진흥시키는 여러 가지 방도가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최남선(崔南善)의 『조선상식문답(朝鮮常識問答)』의 인삼 해설에 의하면 옛날 우리 나라는 어디에나 자연생의 삼이 많아서 1년에 수만 근을 채취하여 그것을 주고 일본에서 은(銀)과 동(銅)을 사다가 그대로 중국에 팔아 이익을 얻었다.
인삼을 주고 중국에서 생사와 주단을 사다가 그대로 일본에 팔아 또 이익을 얻는 국제무역을 행하여 수백 년 동안의 국제수지는 거의 인삼이 지탱하여 왔다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고 한다.
그런데 남채(濫採)·남용(濫用)의 결과 영조 때에는 자연삼이 부족해져서 전라도와 경상도지방에서부터 씨를 뿌려 인공으로 기르는 법이 행하여지고, 나중에 개성에서 이를 시험하여 가장 좋은 성적을 내었으므로 그때부터 개성이 인삼의 대표적 산지로 되었다는 것이다. <script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script>
<ins class="adsbygoogle"
style="display:block; text-align:center;"
data-ad-layout="in-article"
data-ad-format="fluid"
data-ad-client="ca-pub-4162949345545299"
data-ad-slot="8283195497"></ins>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script>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인삼 해설 가운데 상당삼에 관한 내용과 조선에서의 인삼재배 및 거래에 관한 것을 기록한 것으로 보아, 『본초강목』의 집필이 시작된 1552년 당시에는 이미 우리 나라에서 인삼재배가 본격적으로 실시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증보문헌비고』라든가 『중경지(中京志)』 등에 인삼재배의 기원이 천수백 여년 전에 전라남도 동복(同福)에서 야생인삼종자를 채취하여 재배하기 시작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민간전승적 전설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에 확실하지 않다.
원래 인삼이라고 하면 야생인삼을 말하였으나, 점차 인삼의 수요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야생인 천연삼의 채취만으로는 수요를 충족할 수 없게 된 것이 인삼재배기술의 개발을 촉구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미 고려 말엽에 인삼이 부족하게 되었으며, 중국의 요구와 우리의 왕실용을 위한 주구(誅求:관청에서 강제로 빼앗음)가 혹심하게 되자 할당량의 조변(調辨:조달)이 어려운 지방민들이 도망쳐 고향을 떠나는 사태마저 생겼다.
고려 고종시대(1214~1260)에 인공적으로 산양삼(山養蔘)을 재배하였고, 경상북도 경주지방에서는 이미 1,200여년 전인 신라 소성왕 때에 재배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다른지역 에서는 연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의 모후산(母后山) 일대가 본격적인 재배인삼의 발상지이며, 이 동복삼(同福蔘)이 개성(開城) 상인들에 의하여 도입되어 개성이 드디어 인삼재배의 중심지가 되었다.
『정조실록』에 의하면 박유철(朴有哲)이 앞장을 서서 인삼의 일부재배(日覆栽培:햇빛을 가리고 재배함)를 기업적으로 실시하였다.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수천 년 동안 인삼이 영약(靈藥)으로 숭상되어 왔으나 서양에 소개된 것은 불과 수세기에 지나지 않는다.
원나라 때 중국을 여행한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이나 오도리크(Odoric,P.da)의 견문기에는 아직 인삼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차세(Chasse,E.U.)에 의하면 1610년에 최초로 인삼이 네덜란드 사람에 의하여 유럽에 소개되었다고 한다.
1653년 난선(難船)으로 제주도에 표류하여 1666년까지 우리나라에 체재한 네덜란드 사람들 중의 한 사람인 하멜(Hamel,H.)이 저술한 『하멜표류기』 가운데 조선특산품으로서 인삼이 기록되어 있다.
그들이 우리 나라를 떠나 1667년 일본의 나가사키(長崎)에 들렀을 때, 그곳 관헌과 회견하며 인삼에 관한 문답을 한 것이 기록에 남아 있다.
일본 관헌이 “인삼을 어떻게 발견하며 무엇에 사용하며, 또 어디에 수출하는가?”라는 질문에 네덜란드 사람은 “인삼은 북부지방에서 발견되며, 그들에 의하여 약으로 사용되고, 또 매일 타타르(韃靼:지금의 중국 동북지구, 즉 만주이며 고구려시대에는 우리의 판도였다)에 공물로 보내며 상인에 의하여 중국과 일본에 수출된다.”고 대답하고 있다.
인삼의 생태 및 약효를 스스로 관찰하여 상세하게 보관한 기록은 예수회의 선교사로 중국에 파견되었다가 중국 황제의 명으로 타타르지방의 지도 작성에 종사하던 프랑스인 자르투(Jartoux,P.)가 1711년 4월 12일자로 본국에 보낸 서신에 적혀 있다.
이 보고가 계기가 되어 캐나다의 몬트리올을 중심으로 북미 동부지역에 인삼 호경기를 불러일으켜, 채취한 인삼을 중국에 수출하여 막대한 수입을 획득하기 시작하였다.
민영익(閔泳翊)을 전권대신으로 하는 11명의 특사단이 미국을 방문하였을 때 그리피스가 뉴욕에서 그들을 만났는데, “특제 인삼의 커다란 보따리를 내어 놓았다.
이 조용한 아침의 나라의 사람들로서, 인삼을 가지지 않고 외국에 나간다는 것은 생각할 수 없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한미 두 나라의 국교 개시에 있어서 인삼이 중요한 매체 구실을 한 것이다.
그리피스(Griffis,W.E.)의 『Corea, The Hermit Nation』(1907)에 의하면, 1750년대에는 벌써 북경(北京)이나 광둥(廣東)에서 미국이 인삼을 둘러싸고 조선과 무역상의 경쟁국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와 같은 인연으로 미국이 조선과의 통상을 서두르게 되었고, 드디어 1882년 5월 22일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조인하기에 이르렀다.
전문 14관(款)인 이 조약의 제8관에 미국인이라 하더라도 홍삼을 해외로 가지고 나갈 경우 처벌한다는 문구가 있는 것을 보더라도 한미간에 인삼이 중요한 문제였음을 알 수 있다.
인삼은 다년생으로 해마다 잎과 줄기가 말라죽는데, 이 때마다 뇌두에 흔적을 남깁니다.
생삼의 경우에 뇌두가 큰 것을 고가품으로 치는데, 고려인삼은 다른 나라삼에 비해 뇌두가 큰 것이 특징 입니다.
인삼의 열매는 이렇게 위와 같이 변화 합니다.
여름에 1개의 가는 꽃자루가 나와서 그 끝에 4∼40개의 연한 노란빛을 띤 녹색의
꽃잎과 수술은 5개이며 암술은 1개로 씨방하위입니다.
열매는 핵과로 편구형이고 지름 5∼9mm이며, 성숙하면 선홍색으로 되고 가운데에 반원형의 핵이 2개 있는데,
흔히 “인삼딸”이라고 부릅니다.
이것을 따다가 말린것을 종자로 사용합니다.
인삼의 종류
인삼의 원산지는 바로 한국입니다.
인삼 종류는 다양하며, 땅에서 캐낸 그대로의 인삼을 수삼이라 부릅니다.
수삼은 보통 4~5년근이 주종을 이루고 있습니다.
4~5년이 된 수삼 껍질을 살짝 벗겨내고 햇볕에 말리면 백삼이 됩니다.
백삼은 수분 함량이 14%이하가 되도록 가공한 인삼으로 삼 모양에 따라 다시 직삼, 반곡삼, 곡삼 등으로 나뉩니다.
수삼을 장기간 저장하기 위해 수증기로 찐 다름 다시 익혀서 말리면 일반소비자들에게 가장 친숙한 홍삼이 됩니다.
홍삼의 품질을 분류하는 기 준은 뇌두의 견실도, 지근의 균형, 색깔, 내부 조직 등입니다.
인삼 효능은 한방의학에서는 인삼 효능을 칠효설로 설명합니다.
인삼은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고 당뇨병 치료에 좋고 체력이 쇠약해졌을 때 체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체내 독소를 제거하고 천식이나 해수에 좋고 신경을 안정시킴으로써 각종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문헌에서는 서술하고 있읍니다,
수삼 :
밭에서 채굴하여 가공하지 않은 인삼으로 70% 내외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모든 인삼류의 원료가 되는 것으로, 대개 고년근은 5~6년, 저년근은 4년에 채굴 수확입니다.
수삼은 세월의 깊이와 경작인의 정성을 먹고 자란 영삼이자 영초입니다.
수삼은 약효가 순수하게 보존되어 인기가 높지만 많은 수분이 있어 오래 저장하기가 어려워 대개 가공하여 이용합니다.
백삼 :
수삼을 원료로 하여 대부분 껍질을 살짝 벗겨내고 그대로 햇볕 건조하거나, 또는 60℃ 이하로 열풍건조시켜 열에 의하여 제조한 것으로 수분함량이 14%이하가 되도록 가공한 원형유지 인삼제품입니다.
색깔은 미황백색을 띠며, 홍삼의 가공방법과는 달리 태양열에 의한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기타의 방법으로 익히지 아니하고 말린 것을 말합니다.
백삼은 다시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
직삼 : 체형이 직립형태를 나타내도록 제조한 것
반곡삼 : 동체는 직릭형태를 나타내도록 제조한 것
곡삼 : 동체의 일부와 각부의 전체를 구부려서 제조한 것
미삼 : 수삼상태의 미삼과 백삼제조과정중에 생성되는 미삼을 건조한 것이며 크기에 따라 대미, 중미, 세미로 나뉜다.
생건삼 : 표피 및 뇌두가 부착되어 있는 수삼을 원료로하여 제조된 것
파삼 : 인삼의 형태를 갖추지 못하였거나 피해정도가 동체 표면적의 ⅔이상인 피해삼으로 제조한 것
홍삼 : 수삼을 장기간 저장할 목적으로 수증기로 찐다음 익혀서 건조시킨 황갈색의 제품입니다.
증삼,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수분함량이 14%이하가 되도록 가공하게 되는데 제조 과정중 비효소적 갈변화 반응이 촉진되어 농다갈색의 색상을 가지며, 매우 단단한 형태로 가공되어 원형이 장기간 유지 될 수 있습니다.
홍삼은 다시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
천삼 : 홍삼중 품질이 가장 양호한 특상품으로 내용조직이 피밀하고 외형이 가장 좋은 것
지삼 : 천삼다음 등급으로 양호품이며 내용조직과 외형면에서 천삼에 비해 약간 미약한 것
양삼 : 지삼다음 등급으로 양호품이며 내용조직과 외형명에서 지삼에 비해 약간 미약한 것
질삼 : 양삼 다음의 등급으로 동체를 이등분하여 포장한 것
미삼 : 홍삼 동체 이외에 대미, 중미, 세미 등으로 구분 선별한 양질의 것
태극삼 :
원형 유지 가공인삼 제품으로 홍삼과 색삼의 중간 제품이라 말 할수 있으며, 직립형태입니다.
수삼을 90℃ 이상 열수처리하여 표피로부터 동체의 일부를 호화시켜 건조한 것이며 표피의 생상을 담황갈색을 띠고 절단했을 때의 단명은 홍삼의 절단면 색상과 유사한 담갈색 환이 나타납니다.
산삼 과 인삼 차이점,
산삼의 경우에는 자라나는 과정이 매우 어렵고 희박해 아주 희귀하고 귀하다고 불리웁니다.
산삼구별법
외적인 특징은 먼저 5개의 꽃이피기도 하며 열매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잎사귀는 다섯 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싹대의 가운데에 열매가 자라납니다.
또 머리와 뿌리 를 보고도 그 나이를 알 수 있으며 종류도 알 수 있다고 합니다.
그 종류는 크게 5가지로 나눠지게 되는데요.
토종 / 중국 / 천종 / 장뇌 / 미주 가 그 종류 입니다.
사실 산삼 구별법 이라는게 일반 사람들이 보기에는 힘들기도 하고 구별하기도 쉽지 않다고해요.
워낙 자연의 상태로 자란것이기 때문에 외적인 변수도 많다고 합니다.
산삼의 효능
한 뿌리만 있어도 죽은 사람도 살려낸다 라는 말이 있을만큼 엄청난 효능을 자랑하고 있는 바로 그 '산.삼'
그 효능만큼 가치를 인정받아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고 하네요.
뿌리가 누런색을 띄며 상처가 잘 나지 않은 상태로 단단한 몸통이 뭉쳐져있는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노화방지
산삼 효능 중에 하나 바로 노화를 방지해준다는 것 입니다.
속 안에 들어있는 말톨 이라는 성분이 노화되는 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억제시키고 피로도 회복 해 준다고 합니다.
당뇨예방
혈액이 흐르는걸 원활하게 만들어주며 혈당치를 저하 시키는데도 도움을 줍니다.
그래서 평소 당뇨병을 가지고 있거나 혈당이 높으시다면 산삼이 좋다고 할 수 있어요.
정력 향상
남자 여자 따지지 않고 모두에게 좋은 아주 귀한 산삼은 정력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네요!
여성분들에겐 불임에 효과가 있으며 남자분들이라면 운동하는 정자수를 향상시켜 준다고 합니다.
그래서 임신을 계획하거나 준비하시는 분들은 산삼을 자주 먹어주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원기 회복
병에 걸리거나 몸이 아프고 난 후에는 진이 다 빠져 몸안에 기가 없기 마련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산삼이 그 효능에 좋다고 하는데요.
피로를 회복해주며 저항력이 없으신 분들도 먹게되면 원기회복에 좋다고 합니다.
심장에 좋다
아까도 말씀드린 것처럼 안에들어있는 사포닌 이라는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이러한 성분이 우리 심장의 혈류량을 증가시켜줍니다.
자연스럽게 심장을 강화 해 준다고 하네요!
혈액순환
장기간 계속해서 복용하게 된다면 혈액순환 을 촉진시켜주며 성 기능을 활발하게 만들어 준다고 합니다.
남성분들에겐 전립선에 참 좋다고 하네요.
추가적으로 불감증 그리고 성인병 예방이나 치료에도 효과를 보이고 있어 남성분들에게 참 사랑받는 산삼 입니다.
평소에 수족냉증 과 같은 혈액순환 에 관련된 질병을 앓고 계시다면, 혈액 순환을 촉진 해 주는 산삼 을 꾸준히 드셔보시길 바랍니다.
면역력 강화
삼 안에 들어있는 사포닌 이라는 성분이 혈소판들이 응집하는걸 억제하여 항염증 작용을 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면역력이 증진되며 강화되고 암세포들이 전이되는걸 억제 하는 등의 효과를 보입니다.
여성들에게 좋다
여성들이 흔히 가지게되는 질병인 냉증, 월경 과다, 자궁출혈 등 다양한 질환에 좋습니다.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가움을 동반하는 질병과 잘 맞습니다.
산삼 먹는법
산삼 을 생으로 복용할 시에는 몇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만약 복용을 하신다면 드시기 3일전에는 반드시 구충제를 복용 해 주는게 좋읍니다.
공복인 상태에서 산삼을 깨끗하게 생수로 씻은 후 아주 오래 씹어드시는게 좋습니다.
섬유질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아주아주 오래 꼭꼭 씹어드셔야 몸에 잘 흡수될 수 있다고 합니다.
대부분 탕으로 끓여먹거나 차로 끓여드시는게 좋읍니다.
주의사항
그만큼 희귀한 약재이기떄문에 대부분은 인공적으로 산에 씨를 뿌린다음에 키웁니다.
쉽게 말하자면 산.삼. 자연 그대로의 상태에서 자라난 것
인.삼. 인간의 재배를 통해서 자라난 것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 중에서 산, 과 인의 차이점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가장 큰 차이점은 이렇게 나눠지는 이유는 유래 와 가공법의 차이가 있습니다.
인삼과 홍삼은 가공법에 따라서 분류되는 종류
인삼 과 산삼은 생육 환경에 따라서 분류되는 종류입니다.
인.삼 의 경우에는 인공적으로 재배하여 그 상태에서 가공을 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말린 것 과 안말린 것 으로 나눠지기도 합니다.
말린 경우에는 건삼 / 안말린 경우에는 수삼 으로 분류가 됩니다.
가공 방식에 따른 인삼...?
가공 방법에 따른 분류
재배한 인삼을 경작지에서 수확한 후 특별히 가공하지 않은 상태의 인삼을 수삼(水蔘)이라고 하며,
건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삼(生蔘)이라고도 한다.
수삼은 보통 75% 내외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채굴된 상태 그대로는 1주 이상의 저장이 어렵고
특히 유통과정 중에 부태하거나 손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인삼의 장기 보존을 위해 수분탈취식의
가공을 하게된다.
인삼은 가공 형태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수삼을 익히지 아니하고 햇볕과 열풍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말린것을 백삼이라 한다.
백삼은 수삼을 껍질을 살짝 벗겨내고 그대로 햇빛에 자연건조하거나 또는 60도 이하로 열풍 건조시켜
제조한 것으로서 수분 함량이 14% 이하로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백삼은 말린 형태에 따라 직삼(直蔘), 반곡삼(半曲蔘), 곡삼(曲蔘)으로 구분한다.
#직삼 : 백삼의 형태가 직립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표피가 제거된 백삼을 말한다.
#반곡삼 : 다리 부분을 몸통 부분까지 구부려 말린 백삼으로 전체적으로 삼 길이의 절반까지 구부려져있다.
반쯤 구부린삼으로 반곡삼이라 한다.
#곡삼 : 형태가 각 부는 동체의 일부까지도 둥글게 말아 말린 백삼을 말한다.
#태극삼 : 수삼을 뜨거운 물로 익히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익혀서 말린것.
#흑삼 : 수삼을 증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린 것으로 담흑갈색 또는 흑다갈색을 띠는것.
#홍삼 : 수삼을 껍질째 증기로 쪄서 말린것을 홍삼이라고 한다.
외형및 내부의 상태에 따라 등급을 나누는데, 천삼, 지삼및 양삼으로 구분한다.
이 상태에서 겉껍질을 벗겨 상품화한 것은 백삼이라는 이름으로 따로 부릅니다.
상품성으로나 비주얼적으로나 가장 적절한 형태로 인식되고 있는 4~6년근 사이의 인삼들 중에서 이런 과정을 거친 것들이 나온다고 합니다.
인삼을 복용하는 데 있어 가장 걸림돌로 작용하는 식후 극도의 흥분, 발열 등의 부작용을 그나마 줄여준다고 알려진 홍삼은 위 형태의 인삼을 한 번 혹은 여러 번 증기에 찐 다음 그것을 말려 수분과 기타 문제되는 성분을 제거한 것을 뜻합니다.
홍삼
구증구포라는 말을 들어보셨을겁니다,
이는 아홉 번씩 찌고 말리는 과정을 반복하여 내놓았다는 뜻으로
이 정도의 시간과 노력을 들인 것이 최상품이라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일반에서는 이런 형태를 잘 보기 힘들다는데
실제 저도 이 이름을 듣고 명칭 자체를 처음 들어서 신기했는데요.
바로 곡삼이라는 형태입니다.
제조과정은 백삼과 태극삼의 형태를 혼합하였는데요.
겉껍질을 제거한 뒤 데쳐서 말렸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렇게 마른 삼 여러 개를 실로 묶어 이 단위로 한약재로 판다고 하네요.
차례대로 직삼, 반곡삼, 곡삼
직삼 : 백삼의 형태가 직립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표피가 제거된 백삼을 말한다.
반곡삼 : 다리 부분을 몸통 부분까지 구부려 말린 백삼으로 전체적으로 삼 길이의 절반까지 구부러져 있다.
반쯤 구부린 삼으로 반곡삼이라 한다.
곡삼 : 형태가 각 부는 물론 동체의 일부까지도 둥글게 말아 말린 백삼을 말한다.
태극삼 : 수삼을 끓는 물에 찌거나 데쳣 말린 것을 태극삼이라 부른다.
홍삼 : 수삼을 껍질째 증기 및 기타의 방법으로 쪄서 말린 것을 홍삼이라고 한다.
홍삼은 외형 및 속의 상태에 따라 등급을 나누는데, 천삼,지삼,양삼으로 구분된다
2. 재배 방법에 의한 분류
재배삼 : 인삼 밭에서 인공적으로 기른 삼
장뇌삼 : 인삼 씨를 깊은 산중에 뿌려 산삼처럼 자연 그대로 재배한 인삼
산삼 : 깊은 산속에서 자생한 삼
품종
현재 널리 재배되고 있는 인삼은 2종류가 있다.
고려인삼
일본에 잘 알려져있는 한국의 고려인삼, 조선인삼 그리고 러시아 에서는 진(眞)의 인삼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고려 인삼(Korean ginseng, 高麗人蔘)은 한반도에서 생산되는 인삼을 말하며, 현재 한국의 금산군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흔히 한국삼, 조선삼이라 부르기도 한다.
야생토삼
일본에서만 야생하는 품종이다.
가공
인삼의 전통적인 제품에는 수삼, 백삼, 홍삼이 있다.
흔히 말하는 수삼(水蔘)은 갓 수확한 인삼이다.
백삼은 4~6년생 뿌리를 캐서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 것인데, 곧은 형태로 말린 직삼(直蔘)과 구부려서 말린 곡삼(曲蔘)이 있다.
홍삼은 5~6년생 뿌리를 껍질째 수증기로 쪄서 말린 것이다.
홍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열을 받은 당분이 화학반응을 일으키므로 홍삼 색깔은 갈색이 도는 붉은색을 띤다.
이 밖에 뿌리를 고아서 만든 인삼농축액, 홍삼을 가루로 만든 홍삼분, 인삼가루를 캡슐에 넣은 인삼캡슐, 인삼가루를 접착성이 있는 식용 물질로 뭉친 인삼정, 인스턴트 차로 만든 인삼차, 인삼주 따위가 있다.
고려인삼에는 수삼을 가공하여 홍삼, 태극삼, 백삼 등 세가지 인삼으로 나뉜다.
• 수삼 - 말리지 않은 인삼을 수삼이라 한다. 인삼밭에서 갓 수확한 인삼이다.
• 홍삼 - 수삼을 증숙 또는 기타 방법으로 익혀 만든 것을 말한다. 수삼을 증숙처리한 후 건조한 인삼이다.
• 백삼 - 수삼을 익히지 않고 말린 것을 말한다.
수삼을 그대로 건조한 인삼이며, 곧은 형태로 말린 직삼(直蔘)과 구부려서 말린 곡삼(曲蔘)이 있다. <script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script>
<ins class="adsbygoogle"
style="display:block; text-align:center;"
data-ad-layout="in-article"
data-ad-format="fluid"
data-ad-client="ca-pub-4162949345545299"
data-ad-slot="8283195497"></ins>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script>
태극삼
태극삼은 수삼을 수증기로 말린 인삼이며, 홍삼과 백삼 중간단계의 인삼이다.
주로 한식에서 요리재료로 널리 쓰인다.
참고문헌
[출처] 6년근홍삼액기스-인삼종류
또 다른 볼거리.(싸이트)
https://analytics.google.com/analytics/web/template?uid=NqkwKRQ8S1GKnKCGuGJ74w
https://analytics.google.com/analytics/web/template?uid=aAFLI5dLRVOXKFWxqTXeng
http://www.youtube.com/channel/UCfgPqvH1s_8mwfICMcBq2Zw
https://support.google.com/youtube/thread/1721344?msgid=4797194
https://www.youtube.com/channel/UCrFjsn71IQ2H96NLh4-xusg/live
https://happyday6200.blogspot.com
https://happyday2162.blogspot.com
https://happyday2100.tistory.com
https://goodlucks6200.tistory.com
http://blog.daum.net/bumin2110/187
http://blog.naver.com/happyday2162/221511275079
https://www.facebook.com/hyunbong
https://youtu.be/fKNbbj5Mjic <script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script>
<ins class="adsbygoogle"
style="display:block; text-align:center;"
data-ad-layout="in-article"
data-ad-format="fluid"
data-ad-client="ca-pub-4162949345545299"
data-ad-slot="8283195497"></ins>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script>
good day > yutube
'건강, 약초. 약수, 약제. 버섯, 식물, (한방,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칡. (갈근 [葛根]) (0) | 2017.10.13 |
---|---|
잔대. (0) | 2017.10.10 |
삼 의 구별 과 효능.얼힌 설화. (0) | 2017.10.06 |
산삼. (0) | 2017.10.06 |
도라지. (0) | 2017.10.04 |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