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역사(국내 .각지역.)
조선 왕 계보. 1392~1910, 519년.
행복한 즐거운세상.
2018. 2. 2. 22:25
조선 왕 계보.
1392~1910, 519년.
유교적 민본주의를 바탕으로 근세사회를 열었던 조선 왕조의 계보. 태조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며 건국한 조선은 1910년 순종을 마지막으로 27명의 왕이 승계하면서 519년간 존속되었다.
1대 태조이성계, 조선의 제 1대왕 2대 정종1대 태조의 둘째 아들.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세자로 책립. 3대 태종1대 태조의 다섯째 아들.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사병을 없애고 관직 제도를 개혁함. 4대 세종3대 태종의 셋째 아들. 훈민정음을 창제함. 정치, 사회, 경제, 문화, 과학, 음악 등 전 분야를 발전시켜 조선의 황금시대를 연 성군. 5대 문종4대 세종의 맏아들. 성품이 온화하고 학문을 좋아한 왕. 6대 단종5대 문종의 아들. 정치적 야심에 희생된 비운의 소년 국왕. 7대 세조4대 세종의 둘째 아들(수양대군). 계유정난을 일으키고 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찬탈함. 8대 예종7대 세조의 둘째 아들. 재위 13개월 만에 죽음. 9대 성종7대 세조의 손자.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완성함. 조선 전기의 문물제도를 완성시켰다는 평가를 받음. 10대 연산군9대 성종의 맏아들이자 폐비 윤씨의 아들. 조선 최초의 반정으로 폐위됨. 11대 중종제9대 성종의 둘째 아들이자 연산군의 이복동생. 관련어: 조광조, 기묘사화 12대 인종11대 중종의 맏아들. 성품이 온화하고 효심이 깊었던 왕, 재위 8개월만에 사망함. 13대 명종11대 중종의 둘째 아들. 12세에 즉위. 관련사건: 을사사화 14대 선조11대 중종의 손자. 당쟁과 왜군의 침입에 휩싸인 왕. 사림의 중앙정계 진출이 활발해짐. 붕당 형성. 15대 광해군14대 선조의 둘째 아들. 조선 중기의 격동기에 실리외교를 택한 군주. 대동법을 실시함. 16대 인조14대 선조의 손자. 반정으로 왕위에 올라 삼전도 굴욕을 겪은 왕. 17대 효종16대 인조의 둘째 아들. 북벌을 국시로 내세웠으나, 북벌의 기회를 얻지는 못함. 18대 현종17대 효종의 아들. 남인과 서인의 당쟁(예송논쟁)이 계속되어 국력이 쇠퇴해짐. 19대 숙종18대 현종의 아들. 대동법을 전국에 실시함. 당쟁과 궁중암투가 극에 달함. 관련인물: 인현왕후, 희빈 장씨, 숙빈 최씨 20대 경종19대 숙종과 희빈 장씨의 아들. 노론과 소론 당쟁의 절정기. 21대 영조19대 숙종과 숙빈 최씨의 아들. 붕당 대립을 완화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함. 균역법을 시행하여 백성의 군역 부담을 줄임. 22대 정조21대 영조의 손자이자 사도세자의 아들. 탕평책을 계승하고 인재를 고루 등용함. 조선 후기 문화의 황금기를 이루었다고 평가됨. 23대 순조22대 정조의 둘째 아들. 11세에 즉위. 김조순 등 안동 김씨가 세도정치를 하던 시대로 백성들의 생활이 매우 힘들었음. 1811년 홍경래의 난 발생함. 24대 헌종23대 순조의 손자. 8세에 즉위.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의 권력 투쟁에 휘말림. 25대 철종22대 정조의 동생인 은언군의 손자. 1844년 강화도에 유배되었다가 19세 나이로 즉위. 일명 강화도령.상대.:양순이. 26대 고종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 12세에 즉위. 조선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 제1대 황제. 27대 순종26대 고종의 둘째 아들. 조선의 마지막 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