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방원"

728x90

이방원"

조선 제3대 왕(재위 1400∼1418). 아버지 이성계 휘하에서 구세력 제거에 큰 역할을 하였으나 세자책봉에 불만을 품고 정도전 등을 살해하는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 즉위 후, 의정부(議政府),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를 설치하는 등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을 강화하였고 최고의 법사(法司)인 의금부(義禁府)도 설치하였다.

자 유덕(遺德). 휘 방원(芳遠). 태조의 5남. 어머니는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 비는 민제(閔霽)의 딸 원경왕후(元敬王后). 1383년(우왕 9)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사대언(密直司代言)이 되고, 후에 아버지 이성계(李成桂) 휘하에서 신진정객(新進政客)들을 포섭하여 구세력의 제거에 큰 역할을 하였다.


1388년 정조사(正朝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나라에 다녀오고, 1392년(공양왕 4) 정몽주(鄭夢周)를 제거하여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신진 세력의 기반을 굳혔으며, 같은 해 이성계가 조선의 태조로서 등극(登極)하자 정안군(靖安君)에 봉해졌다. 태조가 이모제(異母弟) 방석(芳碩)을 세자로 책봉하자 이에 불만을 품고 1398년(태조 7) 중신(重臣) 정도전(鄭道傳) ·남은(南誾) 등을 살해하고, 이어 강씨 소생의 방석 ·방번(芳蕃)을 귀양보내기로 하고, 도중에 죽여 버렸다. 이것을 제1차 왕자의난이라 하며 방원은 이때 세자로 추대되었으나 이를 동복형(同腹兄)인 방과(芳果:定宗)에게 사양하였다.


1400년(정종 2) 넷째 형인 방간(芳幹)이 박포(朴苞)와 공모하여 방원 일당을 제거하려 하자, 이를 즉시 평정하고 세자에 책봉되었다. 방간·박포의 난을 제2차 왕자의 난이라 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당시 대신들 가운데 일부가 동모제(同母弟)를 세자로 삼은 전례가 없다며 왕태제(王太弟)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정종은 동생을 아들로 삼겠다며 왕세자(王世子)로 책봉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해 11월 정종에게서 양위(讓位)를 받아 조선 제3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즉위하자 사병을 혁파(革罷)하고 1400년 문하부(門下府)를 폐지하였으며 의정부(議政府)를 설치하였다. 또 낭사(郞舍)는 사간원(司諫院)으로 분립시켰으며, 삼사(三司)는 사평부(司平府)로 개칭하고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를 신설하였으며, 1405년 1월에는 의정부의 서무(庶務)를 육조(六曹)에서 분장(分掌)하게 하는 등,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하였다.


한편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을 강화하여 전국의 많은 사찰(寺刹)을 폐쇄한 후, 그 사찰에 소속되었던 토지 ·노비를 몰수하였으며, 또 비기(秘記) ·도참(圖讖)의 사상을 엄금하여 미신타파에 힘썼다. 한편 호패법(號牌法)을 실시하여 양반 ·관리에서 농민에 이르기까지 국민 모두가 이를 소지하게 함으로써 인적 자원(人的資源)을 정확하게 파악하였으며, 개가(改嫁)한 자의 자손은 등용을 금지하여 적서(嫡庶)의 차별을 강요하였다.


국방정책으로서 10년 여진족의 일파인 모련위(毛憐衛) 파아손(把兒孫)의 무리를 죽였고, 노략질이 심한 야인(野人:여진인)들을 회유하여 변방의 안정에도 힘을 기울였다. 또 문화정책으로서 주자소(鑄字所)를 세워 1403년(태종 3) 동활자(銅活字)인 계미자(癸未字)를 만들었으며, 하륜(河崙) 등에게 《동국사략(東國史略)》 《고려사(高麗史)》 등을 편찬하게 하였다. 경제정책으로서 호포(戶布)를 폐지하여 백성의 부담을 덜어 주었고, 저화(楮貨)를 발행하여 경제유통이 잘 되도록 유의하였다. 

태종 이방원의 가장 큰 취약점은 정통성이었습니다. 이복동생들을 죽이고 권력을 장악한 비정한 형. 민심을 잡기 위해서라도 태종은 아버지 태조의 인정을 받는 게 중요했습니다. 그런데 이성계는 단단히 화가 나 있었죠. 아들을 곤란하게 하기 위해 일부러 자신의 고향인 함경도 함흥으로 떠납니다. 태종은 이성계를 한양으로 모셔오기 위해 여러 번 관리인 차사를 보냈어요. 그러나 태종을 용서할 수 없었던 이성계는 차사들이 올 때마다 돌려보내지 않고 모두 죽여버리죠. 이렇게 해서 함흥차사1)란 말이 생겨난 겁니다.


때마침 이성계가 나고 자란 동북 지방에서 태종에게 반대하는 난이 일어납니다. 여기에 이성계가 가담한 거죠. 아버지와 아들의 전면전이 벌어진 겁니다! 하지만 전쟁 영웅인 늙은 아버지, 이성계는 허무하게 패배하게 됩니다. 태종은 직접 아버지가 있는 함흥으로 찾아가 돌아가자고 해요. 한 마디로 봐주겠으니 돌아가자는 거죠. 이렇게 이성계의 한 달 만의 외출은 끝나게 됩니다.

떨떠름하긴 해도 아버지로부터 인정을 받았으니 이제 태종은 거리낄 것이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의외의 복병이 있었어요. 바로 아내 원경왕후 민 씨입니다. 민 씨는 정말 당찬 여자입니다.


일단 남편이 왕이 되는 데 엄청난 공을 세웠어요. 자신의 두 남동생도 남편의 심복으로 삼는 등 왕자의 난 때도 큰 역할을 했습니다. 그렇게 공이 큰 만큼 입김이 셋던 것도 당연하겠죠?


하지만 영원할 것 같던 부인 민 씨의 행복도 태종이 왕이 되면서 깨져버리게 돼요. 태종은 왕이 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 젊은 여자를 만나기 시작했거든요.


남편의 배신을 참지 못한 그녀는 태종이 가까이 한 궁녀를 직접 벌하기까지 하죠. 그러자 태종은 중전을 모시는 시녀와 내시들을 모두 내칩니다.


처가에 대한 숙청, 강력한 왕권강화로 이어지다


벌은 부인의 아랫사람들이 받았지만 사실상 부인에게 내린 법이었죠. 한술 더 떠서 태종은 후궁제도를 아예 법으로 만들기까지 합니다. 자신의 새엄마, 태조의 경처에 대한 경계심 때문이었을까요? 결국 반역 혐의로 처남 2명을 처벌하면서 민 씨 일가는 몰락하게 됩니다. 이걸 지켜본 사람들의 생각은 어땠을까요? ‘왕은 자신의 친척이라도 마음에 들지 않으면 인정에 얽매이지 않고 죽일 수 있다!’였죠. 처가에 대한 숙청은 강력한 왕권강화로 이어지게 됩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태종은 사병을 없앱니다. 자신의 쿠데타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도 사병이었잖아요. 그러니 민간에서 사사로이 소유하는 병사들과 무기를 금지해서 미연의 불상사를 방지하려고함.


개혁을 하려면 돈이 필요하여 세금을 걷기 위해 토지조사사업인 양전사업2)을 벌이고 주민등록제도인 호패법3)을 실시합니다. 또 신권의 상징이었던 의정부서사제에서 6조직계제로 시스템을 바꿉니다. 의정부를 빼고 왕과 정책실행기구인 6조가 직접 일을 처리하면서 의정부의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의 힘을 약화시킨다.


왕권이 강했던 태종도 신하 눈치를 봐야 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바로 사냥이었죠. 태종은 사냥을 정말 좋아해서 가능하면 자주 나가고 싶어 했어요. 그런데 왕의 사냥 행차는 엄청난 비용을 소모하는 일이라 신하들이 반대했던 거죠. 웬 돈이 들어가느냐고요? 일단 해당 지역 백성들은 곡식이 여물지도 않았는데 서둘러 추수를 끝내야 했어요. 짐승들이 여기저기 못 숨게 하기 위해 수풀도 다 깎아놔야 했죠.


호송하는 신하들까지 합치면 사냥 지역으로 행차하는 인원은 수천 명에 달했습니다. 그들을 대접하는 것도 모두 마을 사람들의 부담이었어요. 심지어 사냥에 필요한 몰이꾼은 5천 명 정도나 필요했습니다. 이래저래 민폐죠! 대간의 언관들은 태종이 사냥의 ‘사’ 자만 꺼내도 목에 핏대를 올리고 반대했습니다.


그럴 때마다 태종은 군사 훈련이라며 궁색한 변명을 하기 바빴고 하지만 대간이라도 없앨 수는 없었다. 

태종은 그들이 좀 더 바른말을 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지위를 보장해줬고 만약 그들이 없다면 신하들의 비리를 감시할 사람도, 바른말을 할 사람도 없기 때문입니다. 귀찮지만 꼭 필요한 존재. 그들이 바로 대간이었다.


태종에게도 너무나 큰 고민이 있었습니다. 바로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세자 양녕대군. 태종은 자신이 쿠데타를 통해 왕위를 이은 만큼 아들만큼은 정통성이 있길 바랐어요. 마치 쿠데타로 대통령이 된 독재자가 자기 아들만큼은 투표를 통해 다음 대통령이 되길 바라는 마음이랄까요? 그래서 조강지처의 장남 양녕대군에게 모든 정성을 다했습니다.


하지만 양녕은 세상에 둘도 없는 망나니였습니다. 항상 공부를 빼먹고 기생과 어울리고 심지어 민가의 개를 훔치기도 하고. 실록의 기록을 보면 카리스마 초절정의 태종이 양녕대군으로 인해 목이 다 쉬도록 울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처가를 깡그리 제거한 냉혈한인 것 같으면서도 아들 앞에선 한없이 약한 아들 바보였던 거죠.


계속해서 양녕의 잘못을 넘어가주던 태종도 등을 돌리게 한 사건이 있었다. 바로 조선을 뒤흔든 ‘어리 스캔들’이었고. 양녕대군이 양반의 첩인 어리를 보고 한눈에 반해 연애를한다. 유교적 질서를 중시하는 조선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 하지만 태종은 양녕이 어리와 헤어지겠다며 용서를 빌자 처음엔 넘어가줍니다.

실은 헤어지지 않았던 거예요. 어리를 스님으로 위장해서 몰래 궁으로 데려오면서 관계를 이어나갔던 거죠. 이 일이 발각되자 결국 태종은 양녕을 폐세자하게 됩니다. 갑작스럽게 태종의 셋째 아들인 충녕대군이 왕위를 잇게 되는데 그가 바로 대왕 세종입니다.

태조의 5남으로 어머니는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이고 비는 민제(閔霽)의 딸 원경왕후(元敬王后)이다. 1382년(우왕 8)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사대언(密直司代言)이 되고, 후에 아버지 이성계(李成桂) 휘하에서 신진정객(新進政客)들을 포섭하여 구세력의 제거에 큰 역할을 하였다.


1388년 정조사(正朝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나라에 다녀오고, 1392년(공양왕 4) 정몽주(鄭夢周)를 제거하여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신진 세력의 기반을 굳혔으며, 같은 해 이성계가 조선의 태조로서 등극(登極)하자 정안군(靖安君)에 봉해졌다. 태조가 이모제(異母弟) 방석(芳碩)을 세자로 책봉하자 이에 불만을 품고 1398년(태조 7) 중신(重臣) 정도전(鄭道傳), 남은(南誾) 등을 살해하고, 이어 강씨 소생의 방석, 방번(芳蕃)을 귀양보내기로 하고, 도중에 죽여 버렸다. 이것을 제1차 왕자의 난이라 하며 방원은 이때 세자로 추대되었으나 이를 동복형(同腹兄)인 방과(芳果:定宗)에게 사양하였다.


1400년(정종 2) 넷째 형인 방간(芳幹)이 박포(朴苞)와 공모하여 방원 일당을 제거하려 하자, 이를 즉시 평정하고 세제(世弟)에 책봉되었다. 방간, 박포의 난을 제2차 왕자의 난이라 한다. 제2차 왕자의 난이 평정된 후 정종의 양위(讓位)를 받아 조선 제3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즉위하자 사병을 혁파(革罷)하고 1402년(태종 2) 문하부(門下府)를 폐지하였으며 의정부(議政府)를 설치하였다. 또 낭사(郞舍)는 사간원(司諫院)으로 분립시켰으며, 삼사(三司)는 사평부(司平府)로 개칭하고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를 신설하였으며, 1405년 1월에는 의정부의 서무(庶務)를 육조(六曹)에서 분장(分掌)하게 하는 등,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하였다. 상하 국민의 남소(濫訴), 월소(越訴)를 엄금하였고, 백성들의 억울한 사정을 풀어주기 위하여 신문고(申聞鼓)를 설치하였는데, 그 뜻은 매우 좋은 것이었으나 뚜렷한 실효는 거두지 못하였다. 고려 말기의 순군제도(巡軍制度)를 여러 차례 개편하여 최고의 법사(法司)인 의금부(義禁府)를 설치하였는데, 이것은 국왕 직속의 근위대(近衛隊)로서 모역(謀逆)을 방지하는 기관이었다.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을 강화하여 전국의 많은 사찰(寺刹)을 폐쇄한 후, 그 사찰에 소속되었던 토지, 노비를 몰수하였으며, 또 비기(秘記), 도참(圖讖)의 사상을 엄금하여 미신타파에 힘썼다. 한편 호패법(號牌法)을 실시하여 양반, 관리에서 농민에 이르기까지 국민 모두가 이를 소지하게 함으로써 인적 자원(人的資源)을 정확하게 파악하였으며, 개가(改嫁)한 자의 자손은 등용을 금지하여 적서(嫡庶)의 차별을 강요하였다.


국방정책으로서 10년 여진족의 일파인 모련위(毛憐衛) 파아손(把兒孫)의 무리를 죽였고, 노략질이 심한 야인(野人:여진인)들을 회유하여 변방의 안정에도 힘을 기울였다. 또 문화정책으로서 주자소(鑄字所)를 세워 1403년(태종 3) 동활자(銅活字)인 계미자(癸未字)를 만들었으며, 하륜(河崙) 등에게 《동국사략(東國史略)》《고려사(高麗史)》 등을 편찬하게 하였다. 경제정책으로서 호포(戶布)를 폐지하여 백성의 부담을 덜어 주었고, 저화(楮貨)를 발행하여 경제유통이 잘 되도록 유의하였다.


“천하의 모든 오명은 내가 짊어지고 갈 테니, 너는 어진 임금의 이름을 역사에 길이 남기도록 하라.”


태종 이방원이 임종할 때 셋째 아들인 세종에게 마지막으로 남긴 유언이다. 그리고 그의 유언대로 오늘날 세종은 어질고 현명한 임금으로, 태종은 피비린내 나는 왕권쟁탈전을 거쳐 권좌에 오른 피의 임금으로 역사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조선왕조 500년의 역사에서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워 낸 세종의 위대한 업적은 아버지 태종의 집념이 빚어낸 피와 땀의 결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종은 정당치 못한 방법으로 왕권을 획득해 후대에 부정적으로 비치고 있는 것이 역사의 현실이다.


‘조선’이라는 새로운 왕조를 세운 위대한 임금의 아들로서 그리고 어진 임금의 아버지로서 소설보다 더욱 흥미로운 삶을 살다간 태종은 퍽이나 매력적인 인물이다. 더구나 21세기를 바라보는 오늘의 정치현실이 그때와 유사함을 볼 때 자못 흥미진진한 이야깃거리가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세 권 분량의 소설로 구상하게 된 것이다.


변방 신흥 무장의 아들로 태어나 권문세가의 후예들로부터 신분적 좌절을 맛본 이방원은 위화도 회군에 성공한 아버지 이성계를 도와 고려의 충신 정몽주를 살해하고 ‘조선’이라는 새 왕조를 세우는 데 공헌한다. 그 후 1, 2차 왕자의 난을 통해 형제를 비롯한 친인척, 조정 공신들을 살해하거나 귀양 보내는 등 차례로 정적들을 없애고 마침내 조선 3대 왕위에 오른다.


태조의 사랑을 독차지하던 왕세자 방석을 죽이고 태조가 믿고 의지하던 정도전마저 죽임으로써 아버지의 미움을 사 끝까지 화해하지 못한 채 왕권 확립에만 몰두하다 의리를 지키되 왕권에 도전하는 사람은 가차없이 처단하는 결단력 이면에 인간적인 나약함이 있었던 걸까? 태종의 여성편력은 열두 명의 부인을 거스리고 슬하에 12남 17녀를 둔 데서도 잘 알려져 있다.


아버지를 도와 조선 왕조의 기틀을 다졌으나 끝내 버림 받은 뒤 아들에게 어진 임금을 당부하며 죽어간 고독한 임금 태종 이방원!


1405년 송도(松都)에서 한성(漢城)으로 천도하였으며, 1418년 세자(世子:世宗)에게 선위(禪位)하고 상왕(上王)으로서 국정을 감독하였다. 

태종의 능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헌릉(獻陵)이며 사적 제194호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