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라.역사(국내 .각지역.)

설. 1 구정, 舊正. 명절음식,名節飮食.

728x90

구정, 舊正. 명절음식,名食. 


설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로 한 해의 첫날 전후에 치루는 의례와 놀이 등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옛 기록들에 의하면 원일() · 원단() · 원정() · 원신() · 원조() · 정조() · 세수() · 세초() · 연두() · 연수() · 연시()라고도 하는데 이는 대개 한 해의 첫날임을 뜻하는 말이다. 
설은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 첫 아침을 맞는 명절이다. 
사람들은 새로운 기분과 기대를 가지고 명절을 맞았다.



정의

양력설을 신정()이라 부르는 것에 대비되어 생긴 설날의 이칭.

내용

음력설을 구정이라고 부르는 방식은 일제강점기에 도입된 것으로 보이는데, 새로운 설이 아닌 오래된 설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국인들의 전통적인 시간관념 아래, 새해는 음력에 근거하여 시작되었다. 

음력에 기반한 전통적 시간체계는 1896년을 기하여 공식적으로는 양력을 따르게 되었다. 

양력설이 한국인들의 일상 생활에 좀 더 체계적으로 도입된 것은 일제에 의해서였다.

일제는 자신들의 시간 체계에 맞는 양력설을 새롭고 진취적이라는 의미에서 신정으로 부르고, 피식민지인인 한국인들이 쇠는 음력설은 오래되어 폐지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구정으로 불렀다. 

일제가 전통 설을 지칭한 구정이라는 명칭은 일제의 양력설 정책을 답습한 해방 후 한국 정부에 의해서도 사용되었고, 그 사용이 장려되기도 했다. 

음력설은 해방된 뒤에도 공무원이나 일부 국민들을 제외한 대다수의 국민들이 새해를 맞고 차례를 모시는 날이었음에도 정부는 1985년에서야 ‘민속의 날’이라는 명칭으로 음력설을 하루만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1989년에는 관공서의 ‘공휴일에관한규정’을 개정하여 음력설을 설날로 개칭하고 전후 하루씩을 포함하여 총 3일을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이로써 전통 설은 구정이라는 낙후된 이미지를 벗을 수 있었고 구정이라는 단어는 이제 일상적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설날에 하는 놀이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해마다 설날이 되면 어른들께 세배를 올려요. 

설날은 음력 1월 1일을 말해요.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첫날이지요.

설날이 되면 온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서 조상들께 차례를 지내요. 

차례는 명절이나 조상의 생일 등에 지내는 제사인데, 조상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예를 갖춰 지내지요. 

다같이 떡국을 먹고 윷놀이나 연날리기, 널뛰기 등의 놀이를 즐겨요. 

이런 놀이 속에는 새해에도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어요.

〈세배〉 
새해를 맞이하여 웃어른께 인사로 하는 절을 말해요.

윷놀이

설날에 가장 많이 하는 놀이는 ‘윷놀이’예요. 

윷놀이는 노는 방법이 쉬워서 누구나 즐길 수 있어요. 

나무를 깎아 만든 윷가락은 한쪽은 둥그스름하고, 다른 한쪽은 평평해요. 

윷가락 네 개를 던져서 하나가 젖혀지면 도, 둘이 젖혀지면 개, 셋이 젖혀지면 걸, 넷이 젖혀지면 윷, 그리고 모두 엎어지면 모가 되지요. 

도, 개, 걸, 윷, 모에 따라 윷판의 말을 한 칸부터 다섯 칸까지 움직여서, 윷판을 먼저 한 바퀴를 돌아나오는 편이 이기는 거예요.


〈도, 개, 걸, 윷, 모〉 
각각 돼지, 개, 양, 소, 말을 가리켜요. 

사람과 친할 뿐 아니라 농부들에게 도움이 되는 동물들.


연날리기

설날에는 연날리기도 많이 해요. 연날리기는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예요. 

찬바람이 쌩쌩 부는 언덕에 올라 시린 손을 호호 불며 실을 맨 연을 날리면 팔랑팔랑 하늘 높은 곳까지 날아올라요. 

날아가는 연을 보며 저마다 한두 가지씩 새해의 소망을 빌지요. 

연을 날리다 일부러 연줄을 끊어 버리기도 하는데, 그것은 나쁜 기운을 연과 함께 멀리멀리 날려 버리려는 거예요. 

연싸움을 하기도 해요. 연을 날리면서 서로의 연줄을 마주 걸어 비비거나 당겨서 상대의 연줄을 먼저 끊으면 이기는 거.

예부터 어린 아이들이 설날 이후 3일이 지난 다음부터 보름날까지 연날리기를 하다가 14일날 저녁에 줄을 끊어 날려 버리면 그 해에 드는 액을 날려 버린다고 생각하였으며 이것을 ‘액막이연’이라고 불렀다.

〈연〉 
여러 모양의 한지에 대나무살을 붙이고, 실을 매어 만들어요.

쥐불놀이

새해가 시작되고 처음으로 보름달이 뜬 날을 ‘정월 대보름’이라고 해요. 

옛날에는 달이 차고 기우는 것에 따라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첫 보름달은 농부들에게 무척 중요했지요. 

정월 대보름에 여러 가지 행사와 놀이를 즐겼는데, 그중 하나가 쥐불놀이예요. 

쥐불놀이는 논두렁과 밭두렁에 불을 질러서 마른 풀을 태우는 놀이예요. 

예전에는 쥐불놀이에 쑥방망이를 사용했지만 최근까지는 대개 바람구멍을 숭숭 뚫은 빈 깡통을 사용했어요. 

깡통에 작은 나뭇가지 따위를 넣고 불을 피워서 휙휙 돌리다가 논밭에 불을 지르는 거.

논과 밭 둘레의 마른 풀을 태우면, 풀 속에 있는 해충 알들이 없어져요. 

곡식을 갉아먹는 쥐도 얼씬거리지 못하지요. 

게다가 불에 탄 재는 곡식에 좋은 거름이 되어 농사에 여러 가지로 도움이 된답니다.

"산불은조심" 


옛날에 여자들은 함부로 바깥을 다니지 못했기 때문에, 집 안에 있는 시간이 많았어요. 

정월 대보름에는 여자들도 널뛰기나 놋다리밟기 같은 놀이를 즐길 수 있었어요. 

널뛰기는 안마당에 기다란 널빤지 로 시소 같은 것을 만들어 놓고, 널빤지 양 끝에 한 사람씩 올라서서 폴짝폴짝 번갈아 뛰는 놀이예요. 

널뛰기를 하면서 여자들은 담 너머 마을을 구경할 수 있었지요. 

놋다리밟기는 바깥마당에서 하던 놀이예요. 먼저 여러 사람이 줄줄이 허리를 굽혀서 다리를 만들면, 공주로 뽑힌 사람이 등 위로 올라가 걸어가요. 

사람들로 이어진 다리가 끊기지 않게 다리를 끊임없이 만들어야 한다.

〈놋다리밟기〉 
주로 경북 지방에서 여인들이 즐겼던 놀이로 단결심을 키워 주는 놀이.


함께 어울리는 놀이

“영차, 영차! 힘내라, 힘!”

정월 대보름이 되면 마을 사람들이 모두 모여서 함께 놀기도 했어요. 

고싸움놀이나 차전놀이, 줄다리기 등을 했지요. 

고싸움놀이는 커다란 통나무에 새끼줄을 감아 둥근 모양의 고 를 만들고, 이것을 양쪽에서 밀어서 부딪쳐 상대방의 고를 땅에 닿게 하면 이기는 거예요. 

놀이가 끝난 다음에는 이긴 쪽이나 진 쪽이나 다 같이 음식을 나누어 먹고 하루 종일 잔치를 벌였지요. 

차전놀이는 고싸움놀이와 아주 비슷하지만 경상북도 안동 지방에서 전해 내려오는 놀이예요.


고싸움놀이에서 줄다리기로
고싸움놀이는 때로 두 마을 사이에서 벌어지기도 해요. 

몇 날 며칠 동안 겨루었는데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2월 초하룻날 줄다리기로 결판을 냈답니다. 

줄다리기를 하는 동안 마을 사람들은 저절로 협동심과 단결심을 기르게 되고, 시합에서 이긴 마을은 그 해에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음식과 떡

우리 조상들은 명절이나 절기마다 다양한 놀이를 즐기며 특별한 음식을 해 먹었어요. 

계절에 따라 나는 신선한 재료로 음식을 해 먹으며 건강하게 생활하였고, 이웃과 나누어 먹으며 정을 쌓았어요.


계절 따라 명절 따라 먹는 음식 본문 이미지 2


설날과 대보름날

우리나라는 계절마다 다양한 풍속을 즐기며 맛있는 요리를 만들어 먹었어요. 

설날은 한 해의 시작을 알리며 조상들에게 차례를 지내는 명절로, 떡국이나 만두를 먹으며 한 해의 건강을 비는 날이에요. 

떡국은 가래떡을 얇게 썰어 끓여 먹는 음식이에요. 

떡국을 먹어야 비로소 나이를 한 살 더 먹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대보름 날은 한 해의 농사를 시작하기 위해 준비하는 때이며 집집마다 오곡밥과 묵은 나물을 차려 놓고, 부럼을 깨뜨려 먹었어요. 

찹쌀, 수수, 조, 콩, 팥 등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오곡밥에는 풍년이 들기를 바라는 농부들의 마음이 담겨 있어요. 

오곡밥과 함께 봄과 가을에 말려 두었던 나물을 함께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생각했지요. 

대보름날에는 찹쌀에 대추, 밤, 호두, 흑설탕, 진간장, 참기름을 섞어서 찐 약식을 만들어 먹었어요.

〈오곡밥〉 
하루에 아홉 번을 먹어야 일년 내내 건강하다고 생각하여 조금씩 나누어 먹기도 했어요.

〈부럼〉 
음력 1월 15일인 대보름날 깨뜨려 먹는 호두, 땅콩 등의 딱딱한 열매로, 한 번에 깨뜨리면 1년 동안 부스럼이 나지 않는다고 믿었어요.


삼짇날과 단옷날

삼짇날은 음력 3월 3일로, 봄이 온 것을 기뻐하며 꽃구경을 가는 날이에요. 

사람들은 산과 들로 봄나들이를 가 진달래꽃을 따서 진달래꽃전을 해 먹었다.

음력 5월 5일 단옷날에는 모내기 를 마친 다음, 풍년을 바라며 여러 가지 행사를 열고, 수리취떡이나 앵두화채 등을 만들어 먹었어요. 

수리취떡은 수리취의 잎을 넣어서 만드는데, 수레바퀴 모양의 떡살에 찍어 내요. 

옷날에 수레바퀴처럼 생긴 수리취떡을 먹기 때문에 단오를 ‘수릿날’이라고도한다.


삼복과 추석

우리나라는 일 년 중 가장 더운 며칠을 삼복 으로 정해 놓고 더위를 이겨 낼 수 있는 음식을 먹었어요. 

한여름에는 땀이 많이 나고 기운이 떨어지기 때문에 힘을 보충하기 위해 따뜻한 삼계탕이나 육개장을 먹었어요. 

반대로 시원한 수박화채를 먹고 더위를 물리치기도 했다.


추석은 그 해에 처음으로 거둔 곡식과 과일을 조상에게 올리는 날이에요.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들어 차례를 지내고 이웃들과 나누어 먹었어요. 

송편은 푸른 솔잎을 깔고 쪄 먹는 떡으로 보름달처럼 둥글게 빚기도 하고, 반달 모양으로 빚기도 해요. 

모든 명절 가운데 추석 때가 먹을 것이 가장 많았다.


명절 
우리나라의 4대 명절은 설, 한식, 단오, 추석이에요.


동지

동지는 밤이 가장 긴 날이에요. 

이 날에는 귀신과 전염병을 막고, 좋은 일만 생기길 바라는 마음으로 붉은 팥죽을 쑤어 먹었어요. 

팥죽에 찹쌀로 만든 새알심을 자기 나이만큼 넣어 먹어야 몸이 건강해진다고 믿었다.


우리 조상들은 명절 때 이외에도 잔치가 있는 날이나 제사를 지낼 때 꼭 떡을 해 먹었어요. 아기가 태어났을 때나 생일에도 떡을 해서 나누어 먹었지요. 

떡을 만들기 시작한 것은 삼국 시대 이전부터라고 해요. 

먹을 것이 귀했던 옛날에는 떡을 자주 해 먹지 못하고 특별한 날에만 먹을 수 있었어요. 

간식이 별로 없어서 색다른 맛을 즐기며 함께 나누어 먹으려고 떡을 만들어 먹게 되었다.


귀신을 내쫓는 떡.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붉은색이 나쁜 것을 몰아낸다고 생각했어요. 

새로 큰일을 시작할 때면 붉은 팥이 들어가는 시루떡을 상에 올렸어요. 

새집으로 옮겼을 때도 붉은 팥 시루떡을 만들어 집집마다 돌렸답니다. 

제사 때는 붉은 팥 시루떡과 고춧가루가 들어간 음식을 상에 올리지 못해요. 

붉은 음식을 제사상에 올리면 조상신이 오지 못한다고 믿었기 때문이에요. 

떡을 찔 때는 바닥에 구멍이 여러 개 뚫려 있는, 둥글고 큰 시루를 사용해요. 

가마솥의 뜨거운 김이 시루 속으로 스며들어 쌀가루를 익히는 것이다.


 기쁜 고좋은날 먹는 떡.

아기가 태어나 처음 맞이하는 생일을 ‘돌’이라고 해요. 

돌이 되면 사람들을 초대해서 잔치를 열었는데, 이때 돌이나 백일 때 상에 꼭 올라오는 떡이 있어요. 

바로 백설기와 수수경단이에요. 백설기는 쌀가루에 설탕을 섞어 찐 떡으로, 아기가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어요. 

한입에 먹기 좋도록 작고 둥글게 만든 수수경단에는 콩가루나 팥이 묻혀 있는데, 이는 나쁜 기운을 물리치려는 뜻이 담겨 있다.


떡 만드는 법.

떡은 종류도 많지만 삶은 떡, 지진 떡, 친 떡, 찐 떡 등 만드는 방법도 여러 가지예요. 삶은 떡은 반죽한 찹쌀이나 수수 가루를 끓는 물에 삶아 팥가루, 콩가루 등 고물을 묻힌 떡이에요. 수수경단이 대표적인 삶은 떡.

지진 떡은 반죽한 찹쌀가루를 납작하게 만든 다음 기름에 지진 떡이에요. 

꽃잎을 얹은 화전이 지진 떡.

친 떡은 가루로 만든 곡식을 시루에 쪄서 절구로 친 다음 고물을 묻힌 떡이에요. 

절구로 쳐서 쫄깃하게 만든 다음, 여러 가지 모양의 떡을 만들 수 있어요. 

인절미, 가래떡 등.

마지막으로 찐 떡은 멥쌀가루나 찹쌀가루를 시루에 넣고 뜨거운 김에 찌는 떡이에요. 시루떡, 백설기 등이 있어다.


떡을 만들 때 사용 도구 
절구와 절굿공이는 곡식 등을 찧거나 빻는 도구예요. 

요즘에는 양이 많으면 떡 전문점에 맡기고, 양이 적으면 믹서를 사용해요. 

절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떡살 
떡살은 나무를 파서 만든 떡 도장이에요. 주로 절편에 예쁜 무늬를 찍을 때 사용해요. 무늬는 연꽃, 매화, 국화 등이 많고, 복을 받으며 오래오래 살기를 바라는 글자를 넣기도 한다.


우리 조상들은 계절에 따라 좋은 날을 택하여 명절이라 정하고 갖가지 음식을 차려 조상에게 제사를 올리고 가족과 이웃간의 정을 나누어 왔다. 

각 명절에 마련하는 음식은 다음과 같다. 

〈설〉 음력 1월 1일. 새해 첫날이라 하여 1년 중 가장 큰 명절로 꼽는다. 

차례상과 세배 손님을 위한 세찬이 준비되는데 떡국, 만두, 약식, 인절미, 갈비찜, 편육, 빈대떡, 전유어, 나물류, 수정과, 식혜, 과일 등을 먹는다.

〈정월대보름〉 음력 1월 15일. 

전날인 14일에 오곡밥과 묵은 나물을 먹고 15일 아침에는 1년 내내 부스럼이 없도록 부럼(잣, 호두, 밤, 땅콩)과 귀밝이술을 먹는다.

중화절〉 음력 2월 1일. 

'머슴날'이라 하여 노비에게 나이 수만큼 송편을 만들어주고 유밀과를 먹는다.

삼짇날〉 음력 3월 3일.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온다는 날로 진달래꽃을 찹쌀가루에 버무려 지진 진달래전과 진달래술, 과일, 포 등을 먹는다.


한식〉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조상의 묘를 돌아보고 미리 만들어둔 찬 음식과 약주, 과일, 떡, 국수, 식혜 등을 먹는다.

〈초파일〉 음력 4월 8일. 

석가탄신일로 느티떡, 볶은 콩, 나물, 삶은 미나리를 먹는다.

단오〉 음력 5월 5일. 

창포물에 머리 감고 그네뛰기, 씨름을 하는 풍습이 있는데 수리취떡, 준칫국, 도미찜, 앵두화채 등을 먹는다.

〈유두〉 음력 6월 15일. 

한해 농사가 잘되라고 논에서 용신제()를 지내며 수단자, 밀전병, 유두면을 먹는다.

〈칠석〉 음력 7월 7일. 

은하 동쪽의 견우별과 서쪽의 직녀별이 만나는 날로 시루떡으로 칠석제를 지낸다. 육개장, 오이김치, 편, 전유어를 먹는다.

추석〉 음력 8월 15일. 

각종 햇곡식과 햇과일을 거두며 수확의 기쁨을 나누는 날로 송편, 토란탕, 배화채, 화양적 등을 먹는다.


부럼

음력 정월 보름날 밤에 부럼을 깨물면서 1년 동안 무사태평하고 만사가 뜻대로 되며 부스럼이 나지 말라고 부럼깨물기를 한다.

중양절〉 음력 9월 9일. 

국화꽃이 피는 시기로 국화술, 국화전, 유자화채 등을 먹는다.


〈동지〉 양력 12월 22일. 

팥죽을 문에 발라 나쁜 일을 막고 팥죽에 든 새알심을 나이 수만큼 먹는 풍습이 있다. 

팥죽, 비빔국수, 수정과, 동치미 등을 먹는다.

〈섣달 그믐〉 

밤을 새우며 남은 음식을 모두 합해 비빔밥을 만들어 먹고 인절미, 돼지고기찜, 설렁탕, 완자탕 등을 먹는다.


설날 동요

1. 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
곱고 고운 댕기도 내가 들이고
새로 사 온 신발도 내가 신어요.

2. 우리 언니 저고리 노랑 저고리
우리 동생 저고리 색동 저고리
아버지와 어머니 호사 내시고
우리들의 절 받기 좋아하세요.


작요·작곡자 윤극영은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동요 작곡가로 「설날」외에도 「반달」·「따오기」·「고드름」 등 후세에까지 널리 애창되고 있는 동요를 수없이 작곡하였다. 

그는 음악을 전공한 음악도였으나 문학적인 기량이 풍부하여 그의 동요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어린이의 생활감각이나 시대적 상황에 의한 민족감정이 잘 나타나 있다.

1924년부터 1926년 사이에 작곡된 17곡의 창작동요를 엮어 1926년에 『반달』이라는 동요집을 엮어내고, 같은 해에 동요레코드도 출반하였다.


'나라.역사(국내 .각지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 운동. 1  (0) 2018.03.02
삼일절 . 三一節.  (0) 2018.03.02
평창.Pyeongchang-gun, 平昌郡. 1  (0) 2018.02.08
평창군. Pyeongchang-gun, 平昌郡.  (0) 2018.02.06
단종애사. 端宗哀史.  (0) 2018.02.06